판 커지는 액티브 ETF…순자산 4.5조 넘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년새 2.4조 늘어나 규모 2배로
중소운용사 뛰어들며 경쟁 치열
규제 완화로 성장 가속화할 듯
중소운용사 뛰어들며 경쟁 치열
규제 완화로 성장 가속화할 듯
액티브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이 급속도로 커지고 있다. 올 들어 순자산과 종목 수가 두 배 가까이 증가하며 몸집을 빠르게 불리고 있다. 업계에서는 금융당국의 규제 완화로 액티브 ETF 시장의 성장이 가속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1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국내 액티브 ETF 순자산총액은 이날 기준 4조5309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2조1290억원) 대비 두 배 넘게 증가했다. 종목 수도 지난해 말 14개에서 현재 38개로 급증했다.
액티브 ETF란 비교지수를 70%가량 추종하면서 나머지 30% 범위에서 펀드매니저의 재량으로 추가 수익을 추구하는 상품이다. 국내에서는 2017년 채권형 액티브 ETF 상장을 시작으로 지난해 7월 금융당국이 액티브 ETF 관련 제한을 완화하면서 주식형 액티브 ETF가 도입됐다. 주식형 액티브 ETF는 △혁신기술 △미래차 △신재생에너지 △메타버스 등 성장성이 높은 테마형 상품을 중심으로 출시되고 있다.
공모펀드와 헤지펀드로 이름을 날리던 중소형 자산운용사도 액티브 ETF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올 들어 타임폴리오자산운용, 메리츠자산운용, 에셋플러스자산운용 등이 액티브 ETF를 선보였다. 업계에 따르면 신영자산운용, 신한자산운용, 트러스톤자산운용, KTB자산운용 등도 액티브 ETF 출시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액티브 ETF는 차별화된 상품이나 전략이 있다면 후발주자라도 시장에 진입하기 수월하다”며 “같은 테마라도 펀드매니저의 역량에 따라 수익률이 차별화되기 때문에 운용사 간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장기적으로 펀드 시장이 액티브 ETF를 중심으로 재편될 것으로 보고 있다. 금정섭 KB자산운용 ETF전략실장은 “기존 공모펀드는 은행, 증권사 등 간접 채널을 통해 상품에 가입하는 구조지만 ETF는 주식시장에서 ‘직구’가 가능하다”며 “가입과 해지가 쉽고 보수도 저렴해 투자자가 몰리고 있다”고 말했다.
액티브 ETF 시장을 확대하기 위해선 금융당국의 추가적인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 액티브 ETF는 상관계수 0.7을 적용받아 비교지수를 의무적으로 70% 추종해야 한다. 자산구성내역(PDF)을 매일 공개해야 하기 때문에 적극적인 운용을 하기 어렵다는 의견도 있다. 미국은 액티브 ETF에 요구하는 상관계수가 없고, PDF를 제한적으로 공개하는 불투명·반투명 ETF를 허용하고 있다. 송영훈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본부장보는 “액티브 ETF의 상관계수를 0.7 이하로 낮추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중장기적으로 불투명·반투명 ETF 도입도 고려 중”이라고 했다.
서형교 기자 seogyo@hankyung.com
1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국내 액티브 ETF 순자산총액은 이날 기준 4조5309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2조1290억원) 대비 두 배 넘게 증가했다. 종목 수도 지난해 말 14개에서 현재 38개로 급증했다.
액티브 ETF란 비교지수를 70%가량 추종하면서 나머지 30% 범위에서 펀드매니저의 재량으로 추가 수익을 추구하는 상품이다. 국내에서는 2017년 채권형 액티브 ETF 상장을 시작으로 지난해 7월 금융당국이 액티브 ETF 관련 제한을 완화하면서 주식형 액티브 ETF가 도입됐다. 주식형 액티브 ETF는 △혁신기술 △미래차 △신재생에너지 △메타버스 등 성장성이 높은 테마형 상품을 중심으로 출시되고 있다.
공모펀드와 헤지펀드로 이름을 날리던 중소형 자산운용사도 액티브 ETF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올 들어 타임폴리오자산운용, 메리츠자산운용, 에셋플러스자산운용 등이 액티브 ETF를 선보였다. 업계에 따르면 신영자산운용, 신한자산운용, 트러스톤자산운용, KTB자산운용 등도 액티브 ETF 출시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액티브 ETF는 차별화된 상품이나 전략이 있다면 후발주자라도 시장에 진입하기 수월하다”며 “같은 테마라도 펀드매니저의 역량에 따라 수익률이 차별화되기 때문에 운용사 간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장기적으로 펀드 시장이 액티브 ETF를 중심으로 재편될 것으로 보고 있다. 금정섭 KB자산운용 ETF전략실장은 “기존 공모펀드는 은행, 증권사 등 간접 채널을 통해 상품에 가입하는 구조지만 ETF는 주식시장에서 ‘직구’가 가능하다”며 “가입과 해지가 쉽고 보수도 저렴해 투자자가 몰리고 있다”고 말했다.
액티브 ETF 시장을 확대하기 위해선 금융당국의 추가적인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 액티브 ETF는 상관계수 0.7을 적용받아 비교지수를 의무적으로 70% 추종해야 한다. 자산구성내역(PDF)을 매일 공개해야 하기 때문에 적극적인 운용을 하기 어렵다는 의견도 있다. 미국은 액티브 ETF에 요구하는 상관계수가 없고, PDF를 제한적으로 공개하는 불투명·반투명 ETF를 허용하고 있다. 송영훈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본부장보는 “액티브 ETF의 상관계수를 0.7 이하로 낮추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중장기적으로 불투명·반투명 ETF 도입도 고려 중”이라고 했다.
서형교 기자 seogy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