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공장에서 생산하는 차량 모델을 다른 공장으로 넘기려면 몇 년 뒤 다시 준다는 조건을 달아라.”

‘공장 이기주의’로 비판을 받아온 현대자동차 울산4공장 노동조합이 또다시 회사에 도를 넘은 요구를 해 논란이다. 회사 측이 승합차 스타리아 물량을 전주공장으로 옮기고 울산4공장에서는 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팰리세이드를 더 많이 생산하자고 제안하자, 추후 스타리아를 돌려받는 조건을 명시해야 한다고 으름장을 놓은 것이다. 회사 안팎에서는 “몇 년 뒤 돌려받겠다는 조건을 걸고 생산 차종을 넘겨주겠다는 황당한 요구는 유례가 없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6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울산4공장 노조는 지난 4일 이상수 노조위원장과의 간담회에서 스타리아 생산을 전주공장으로 옮기려면 ‘환수 조항’을 명시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팰리세이드를 증산해 현재 생산물량을 지키면서, 몇 년 뒤에는 스타리아를 되돌려받아 미래 물량도 확보해 놓겠다는 의미다. 이 위원장은 이를 회사 측에도 요구하겠다고 밝혔다.

울산4공장 노조는 한동안 스타리아를 전주공장으로 넘기는 것을 반대한다고 버텼다. 생산모델을 다양하게 보유하고 있어야 추후 판매 부진에 따른 생산 물량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지 않는다는 이유에서다. 이 와중에 현대차 노조 사이에 ‘노노 혈투’가 벌어지기도 했다. 생산물량 이관을 논의하기 위한 고용안정위원회 회의장 앞에서 울산4공장 노조와 전주공장 노조가 충돌한 것이다.

양측은 거친 욕설을 주고받으며 몸싸움을 벌였고, 전주공장 노조 간부가 쓰러져 응급차로 후송되기도 했다. 전주공장 노조는 직후 ‘현대차 노조는 죽었다’는 내용의 유인물을 배포하며 울산4공장 노조를 강하게 비판하기도 했다.

회사 안팎에서는 울산4공장 노조가 외부의 따가운 시선을 의식해 일부 생산물량의 이관을 받아들일 수 있다는 태도를 보이면서 환수 조건까지 단 것은 끝까지 자신들의 이익만 고집하겠다는 뜻이라고 지적했다. 업계 관계자는 “근본적으로 회사가 제품을 어느 공장에서 생산할지를 노조와 협의해야 하는 상황 자체가 말이 안 된다”고 꼬집었다.

도병욱 기자 dod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