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경선에서 3위를 달리고 있는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의 상승세가 호남에서 멈춰섰다. 정치권에서는 “윤석열 전 검찰총장을 둘러싼 ‘고발사주 의혹’이 이재명 경기지사의 ‘대장동 특혜 의혹’에 묻히면서 추 전 장관이 손해를 봤다”는 말이 나왔다.

추 전 장관은 지난 25일 광주·전남 경선에서 권리당원과 대의원, 유선전화 투표를 합산한 결과 3113표(4.33%)를 얻었다. 4.33%는 추 전 장관이 경선 득표율 중 가장 낮은 수준이다. 그는 앞서 열린 대전·충남(6.67%), 세종·충북(7.09%), 대구·경북(14.84%), 강원(8.61%) 등 지역순회 경선과 1차 선거인단(11.67%) 투표에서는 득표율이 점차 올라가는 모습을 보였다.

추 전 장관은 맨 처음 치러진 충청지역 경선에서는 정세균 전 국무총리에게 밀려 4위에 그쳤다. 이후 윤 총장 재임 당시 검찰이 김웅 국민의힘 의원 등을 동원해 여권 인사에 대한 고발을 사주했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누적으로 11.85%까지 상승했다. 하지만 호남지역 경선을 앞두고 대장동 의혹이 ‘태풍의 눈’으로 부상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이 지사의 대장동 특혜 관여 여부가 경선 쟁점으로 떠오르면서 추 전 장관이 강조하던 ‘검찰개혁’ 이슈가 힘을 잃은 것이다. 추 전 장관의 누적 득표율은 광주·전남 경선 결과를 반영해 10.96%로 하락했다.

추 전 장관은 광주·전남 경선 결과 발표 직후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를 겨냥해 “(이 전 대표 측의) 치열한 네거티브가 표 집중을 가져오지 않았나 싶다”고 말했다.

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