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는 앞으로 20년간 경남의 장기 발전 방향을 담은 ‘제4차 종합계획(경남미래 2040)’을 확정했다고 30일 발표했다.

이 계획은 광역지방자치단체 단위의 최상위 법정계획이다. 경남의 향후 20년 중장기 미래비전과 발전전략을 새롭게 한다는 의미를 담았다.

도는 지역민이 바라는 미래상을 종합해 ‘지속가능한 지역국가, 더 좋은 경남’이라는 비전 아래 △미래지향 혁신사회 △공동체 기반 포용사회 △함께 누리는 균형사회 △생명존중 안전사회를 4대 목표로 제시했다.

먼저 심해지고 있는 수도권 집중화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광역권 공간구조전략을 추진한다. 부울경 메가시티와 영남권 그랜드 메가시티, 남해안 관광벨트 조성, 남중권 및 지리산권 연계협력 사업 등이 세부 전략이다.

지속가능한 탄소중립사회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경남을 이끌어온 주력산업의 구조 개편도 도모한다. 해상풍력단지 개발과 태양광 보급 확대 등 재생에너지 발전 생태계를 구축하고, 주민 참여형 사업 모델을 활성화해 민관협력(거버넌스) 체제를 마련한다.

또 기계·자동차부품 및 조선, 항공우주 산업 고도화를 위해 친환경·스마트 생산시스템 구축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신소재, 지능형기술융합산업과 바이오혁신산업 육성으로 전통 제조산업에 의존해온 산업 구조를 개선한다.

청년이 돌아오는 청년특별도 조성을 위해 메가시티 플랫폼, 부울경 협업 등을 통한 청년이주 완화와 정착에 행정 역량을 집중하고 인구 유출 방지를 위한 협력 방안도 세울 방침이다.

이 밖에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농어촌 조성을 위해 먹거리통합지원센터, 통합유통시스템 등 푸드플랜의 광역화로 지역 간 농축산수산물의 수급불균형 문제도 해소해나갈 계획이다.

장재혁 도 정책기획관은 “이번 종합계획은 광역지자체 법정 최상위 계획으로 향후 도정 분야별 하위 계획과 18개 시·군에서 수립하는 개발계획을 통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창원=김해연 기자 hay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