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차 국가철도망 계획에 따른 강원도 발전 전략과 과제를 논의하는 토론회가 18일 오후 춘천시 스카이컨벤션웨딩홀에서 열렸다.

"4차 국가철도망 발판…강원도를 동북아 북방경제 전진기지로"
이 행사는 강원도와 홍천군, 강원일보사, 유상범 국회의원실, 강원연구원이 주최하고 강원도국회의원협의회, 홍천군번영회의 후원으로 마련됐다.

첫 번째 주제 발표자로 나선 이호 한국교통연구원 철도산업광역철도연구팀장은 "4차 국가철도망에 반영된 원주연결선(원주∼만종), 동해선(삼척∼강릉), 동해신항선(삼척해변∼동해신항), 용문∼홍천 광역철도(용문∼홍천)는 관광 거점화와 물류 단축, 영서권 신규 관광 수요 창출 등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남북 위주의 철도망을 보완하기 위해 동서고속화선(춘천∼속초), 강릉선 등 동서 횡단철도에 대한 필요성이 한층 높아졌다"고 강조했다.

그는 "철도사업 등 교통 SOC 사업의 추진을 위해 예비타당성 통과는 매우 중요하지만 경제성 중심의 투자평가체계에서 벗어나 지역균형발전 등 다양한 항목을 반영하는 지역 분배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4차 국가철도망 발판…강원도를 동북아 북방경제 전진기지로"
두 번째 발제자로 나선 김재진 강원연구원 연구위원은 "철도의 특성상 네트워크 연결성이 매우 중요한 만큼 호남선-충북선-강원도 철도를 연결하는 국가 철도망 구축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강호축은 통일 및 북방시대 우리나라의 경제영역을 유라시아 대륙까지 확대해 물류 및 관광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노선으로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특히 발제자들은 제4차 산업혁명 시대 철도 교통이 유일한 친환경 교통수단이 아닌 만큼 미래 지향적 철도 정책 마련도 시급하다고 제안했다.

이호 연구팀장은 "전기차와 수소차 등 친환경 도로 교통수단의 등장으로 철도 투자에 대한 추진력이 약화할 수 있다"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 타 교통수단과 경쟁할 수 있는 철도 역할 정립도 고민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김재진 연구위원은 "강원도가 북방 물류 전진기지로 자리매김하려면 장기리 수송 능력을 갖춘 수소 열차 개발 등 물류 운송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날 토론회 참석자들은 국가철도망 계획에 따른 강원도의 발전 전략과 과제, 강원도 등 지자체의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정책 등에 대해 많은 의견을 나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