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미국 오하이오주가 백신 복권으로 의료비 약 6600만달러(약 776억3580만원)를 아낀 효과를 봤다고 영국 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가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오하이오주의 백신 복권은 백신 접종자에게 추첨을 통해 100만달러(약 11억7450만원)를 주는 제도다.

미국 캘리포니아대 연구진은 오하이오주가 백신 복권 제도를 시행하지 않았을 상황을 가상 시나리오로 만들어 실제 결과와 비교했다. 그 결과 백신 복권으로 오하이오주의 백신 접종률이 1.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약 8만2000명이 백신 복권으로 인해 백신을 맞았다는 얘기다.

미국 코로나19 환자의 평균 병원비가 하루 1만3500달러임을 고려하면 오하이오주는 백신 복권으로 병원비 6600만달러를 아낀 셈이다.

지난 5월 오하이오주는 미국 50개 주(州) 중 최초로 백신 복권 제도를 선보였다. 백신 접종률을 높이기 위해서였다. 코로나19 백신을 1회 이상 접종한 성인 5명에게 추첨을 통해 100만달러를 줬다. 12~17세 청소년에게는 추첨을 통해 5명에게 오하이오 공립대에 진학 시 받을 수 있는 전액 장학금을 지급했다.

오하이오주에 이어 미국 19개 주도 백신 복권 제도를 도입했다. 뉴멕시코주와 뉴욕주에서는 당첨자에게 500만달러에 달하는 상금을 지급하기도 했다.

지난달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50개 주정부 등에 백신을 맞는 사람에게 100달러의 인센티브를 줄 것을 요청했다.

맹진규 기자 mae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