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고공행진 중인 계란 가격을 잡기 위해 기획재정부 내에 ‘계란 가격 점검단’을 꾸렸다. 다음달 추석 명절을 앞둔 상황에서 밥상물가의 대표 품목인 계란 가격 안정이 중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조치다.

11일 정부에 따르면 기재부에 구성된 계란 가격 점검단은 이날부터 본격 활동에 들어갔다. 점검단은 계란의 생산·유통·판매 동향을 살피고 가격을 10원 단위까지 파악해 수시로 내부 보고로 올릴 계획이다. 계란 가격은 한 판(30개) 기준으로 올해 2월부터 줄곧 7000원대를 기록하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농산물 유통정보(KAMIS)에 따르면 이날 계란 특란 한 판의 평균 가격은 7077원이다. 평년(5259원)에 비해 34.6% 높은 수준이다. 최근 홍남기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까지 나서 계란 가격을 6000원대로 인하하라고 지시했지만 별다른 정책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추석을 앞두고 계란 가격이 좀처럼 잡힐 기미를 보이지 않자 정부 내에선 긴장감이 역력한 분위기다. 추석 물가는 민심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정부가 지난달부터 운영 중인 계란 태스크포스(TF) 외에 별도 가격 점검단까지 구성한 것은 코로나19 초기 ‘마스크 대란’ 사태에 준해 계란 수급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홍 부총리는 지난달 “작년 범부처 마스크대책 TF에 준할 정도의 각오를 갖고 대책을 마련해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계란 가격을 6000원대, 더 나아가서는 예년 수준으로 안정시키는 것이 목표”라며 “다른 성수품도 가격 동향을 주시하고 있지만 특히 계란은 많은 물량을 수입하고 있는데도 가격이 떨어지지 않아 유통 과정 등에 문제가 없는지 체계적으로 점검하고 집중 관리에 들어간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소현 기자 alp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