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60%가 빈곤층…반정부 시위 지속·납치 범죄 급증
'대통령 피살' 아이티는…정국·사회혼돈 극심한 카리브해 빈국(종합)
조브넬 모이즈 대통령이 7일(현지시간) 새벽 괴한들에 피살된 아이티는 '혼돈'과 '빈곤', '재난' 등의 단어가 자주 따라다녔던 나라다.

카리브해 히스파니올라섬을 도미니카공화국과 공유하고 있으며, 인구는 1천100만 명가량이다.

인구의 95%가 아프리카계이며, 프랑스어와 아이티 크레올어를 공용어로 쓴다.

아이티는 빈곤율이 60%(2020년 세계은행)에 달하는 극빈국이다.

보통 서반구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로 불린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속에 빈곤층과 극빈층도 더 늘었다.

심각한 빈곤과 열악한 기반 시설 탓에 자연재해에도 특히 취약하다.

2010년 규모 7.0의 대지진으로 수십만 명이 목숨을 잃었고 매년 허리케인 시즌에도 피해가 이어졌다.

스페인과 프랑스에 차례로 식민 지배를 당했던 아이티는 독립 이후에도 오랜 독재를 경험하며 민주주의가 제대로 자리잡지 못했다.

프랑수아 뒤발리에와 장 클로드 뒤발리에 부자 독재자가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탄압 정치를 이어갔고, 이 과정에서 많은 국민이 압제를 피해 탈출했다.

'대통령 피살' 아이티는…정국·사회혼돈 극심한 카리브해 빈국(종합)
1990년에야 첫 민주 선거로 장 베르트랑 아리스티드 대통령이 선출됐지만 이듬해 쿠데타로 축출되는 등 정국 혼란이 계속됐다.

모이즈 대통령 역시 2017년 2월 취임 전후부터 혼란을 몰고 다녔다.

바나나 수출업자 출신의 정치인으로, '바나나맨'으로 불렸던 모이즈 대통령은 2015년 11월 치러진 대선 1차 투표에서 33% 득표율로 1위를 차지해 결선에 진출했다.

그러나 그의 출구 조사 득표율은 6%에 그쳤다는 것이 확인되면서 부정 의혹이 일었고 거센 반발 속에 결국 1차 투표 결과가 무효가 됐다.

1년여의 극심한 혼란 끝에 2016년 11월 다시 대선이 치러졌고, 모이즈 대통령은 55%의 득표율로 당선됐다.

그는 취임 당시 빈곤에 허덕이는 국민의 삶을 개선하겠다고 공언했지만, 약속은 지켜지지 못했다.

물가 인상과 연료난 등으로 국민 생계는 더욱 어려워졌고, 각종 부패 스캔들까지 이어지자 2018년부터 모이즈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는 반정부 시위가 이어졌다.

시위 과정에서 여러 명의 사상자도 나왔다.

이러한 가운데 2018년 의회 선거가 치러지지 못하면서 모이즈 대통령이 사실상 의회 공백 속에서 통치했고, 야권은 '독재'라며 반발했다.

'대통령 피살' 아이티는…정국·사회혼돈 극심한 카리브해 빈국(종합)
정국 혼란이 특히 심해진 것은 지난 2월이었다.

야권은 모이즈 대통령의 임기가 전임자 퇴임 직후인 2016년 2월부터 시작돼 올해 5년 임기가 끝났다고 주장했고, 모이즈 대통령은 실제 취임 날짜인 2017년 2월부터 임기가 시작되는 것이라고 맞서며 갈등했다.

야권의 퇴진 요구가 거세지던 가운데 지난 2월 7일 모이즈 대통령은 자신을 암살하고 정권을 전복하려는 시도를 적발했다며 대법관 등을 무더기로 체포하기도 했다.

모이즈 대통령의 이러한 행보에 국제사회에서도 경고음을 냈다.

모이즈 대통령은 야권은 반발 속에 대통령 권한을 강화하는 개헌 국민투표도 추진해 왔는데, 코로나19로 두 차례 연기된 국민투표가 오는 9월 치러질 예정이었다.

미뤄졌던 의회 선거와 모이즈 대통령 후임을 정할 대선도 9월 함께 예정돼 있었다.

이 같은 정국 혼란 속에 치안도 악화할 대로 악화했다.

아이티에선 이전에도 갱단들이 몸값을 노리고 저지르는 납치 범죄 등이 극성을 부렸는데, 최근 1∼2년 새 이 같은 범죄가 급증했다.

컨설팅업체 콘트롤 리스크스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아이티에서 일어난 납치 범죄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0%나 늘었다.

피해자가 당국에 알리지 않고 납치범들과 협상하는 경우도 많아 실제 납치 건수는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