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기술로 하수도 침수·악취 방지…33곳에 3천324억원 투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환경부는 하수처리 전 과정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적용해 침수 문제나 악취관리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하수도 사업' 대상지 33곳을 선정하고 4년간 총 3천324억원을 투입한다고 7일 밝혔다.
환경부는 지난해 9월 전국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수요를 진행한 뒤 사업 적합성, 침수피해 이력, 악취 현황, 지자체 의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사업 대상지 33곳을 선정했다.
이들 대상지에는 올해부터 4년간 총 3천324억 원(국비 2천23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사업은 스마트 하수처리장, 스마트 하수관로(도시침수대응·하수 악취 관리), 하수도 자산관리 등 4개 분야로 추진된다.
스마트 하수처리장으로 선정된 13곳은 향후 2년간 총 484억 원(국비 242억 원), 스마트 하수관로 사업지로 지정된 10곳의 지자체는 3년간 총 2천636억 원(국비 1천845억원), 하수도 자산관리 대상에 선정된 10곳의 처리장은 2년간 20억원(국비 143억 원)을 지원받는다.
스마트 하수처리장 구축 사업은 정보통신기술 기반 계측·제어로 하수처리공정을 최적화해 안정적으로 하수를 처리하고 에너지를 절감하는 사업이다.
올해 6곳, 내년에 7곳 등 총 13곳을 구축한다.
스마트 도시침수 대응 사업은 하수관로에 정보통신기술 기반 실시간 수량 관측 및 제어시스템 등을 구축해 침수피해를 사전에 예측하고 대응하는 사업이다.
2023년까지 5곳의 지자체에 도입한다.
스마트 하수 악취 관리사업은 하수관로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실시간으로 측정·관리하는 사업으로, 2023년까지 5곳의 지자체에 구축할 예정이다.
환경부는 이번 '스마트 하수도 사업'으로 약 2천208개의 일자리가 창출되고, 연간 6천545t의 온실가스(CO2) 감축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박재현 환경부 물환경정책국장은 "이번 사업은 하수도가 기피 대상이 아닌 최첨단 기술이 적용되는 도시 물관리 기반시설로 인식이 전환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환경부는 지난해 9월 전국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수요를 진행한 뒤 사업 적합성, 침수피해 이력, 악취 현황, 지자체 의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사업 대상지 33곳을 선정했다.
이들 대상지에는 올해부터 4년간 총 3천324억 원(국비 2천23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사업은 스마트 하수처리장, 스마트 하수관로(도시침수대응·하수 악취 관리), 하수도 자산관리 등 4개 분야로 추진된다.
스마트 하수처리장으로 선정된 13곳은 향후 2년간 총 484억 원(국비 242억 원), 스마트 하수관로 사업지로 지정된 10곳의 지자체는 3년간 총 2천636억 원(국비 1천845억원), 하수도 자산관리 대상에 선정된 10곳의 처리장은 2년간 20억원(국비 143억 원)을 지원받는다.
스마트 하수처리장 구축 사업은 정보통신기술 기반 계측·제어로 하수처리공정을 최적화해 안정적으로 하수를 처리하고 에너지를 절감하는 사업이다.
올해 6곳, 내년에 7곳 등 총 13곳을 구축한다.
스마트 도시침수 대응 사업은 하수관로에 정보통신기술 기반 실시간 수량 관측 및 제어시스템 등을 구축해 침수피해를 사전에 예측하고 대응하는 사업이다.
2023년까지 5곳의 지자체에 도입한다.
스마트 하수 악취 관리사업은 하수관로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실시간으로 측정·관리하는 사업으로, 2023년까지 5곳의 지자체에 구축할 예정이다.
환경부는 이번 '스마트 하수도 사업'으로 약 2천208개의 일자리가 창출되고, 연간 6천545t의 온실가스(CO2) 감축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박재현 환경부 물환경정책국장은 "이번 사업은 하수도가 기피 대상이 아닌 최첨단 기술이 적용되는 도시 물관리 기반시설로 인식이 전환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