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위 "시·청각 장애인 IPTV 편의 개선한다"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는 장애인의 방송시청 편의 제공을 위한 `IPTV 셋톱박스 호환성 기술개발`을 완료하고 올 7월부터 상용화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2일 밝혔다.

해당 사업은 시·청각 장애인들을 위해 IPTV 셋톱박스에 폐쇄 자막, 화면 해설, 한국 수어 등 특화기능을 발굴하고 장애인 이용에 최적화된 기능을 개발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방통위는 지난해 KT를 협력 사업자로 선정하고, 유료방송 장애인의 방송 시청 편의성 향상을 위한 기술 개발을 추진해왔다.

KT는 이 사업을 통해 올레 TV의 기가지니 셋톱박스에 장애인 시청자의 편의를 위한 고도화된 기능들을 구현했다.

청각장애인을 위해 폐쇄 자막의 크기와 색상, 투명도·배경색, 줄간격·위치 조정 등 개인별 최적의 자막 설정을 지원한다.

또한 시각장애인을 위해서는 채널이동, 음량조절 등 음성 명령이 가능하도록 하고, 메뉴 화면이나 프로그램 정보(EPG) 등을 음성으로 안내 받을 수 있는 기능 등을 개발했다.

기가지니 셋톱박스를 이용하는 유료방송 가입자는 시?청각장애인의 특화기능이 자동 업그레이드 되어 개선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한상혁 위원장은 "코로나19로 비대면 방식이 일상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시·청각장애인들의 미디어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 정부가 보다 적극적으로 사회적·문화적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며 "앞으로도 격차 없는 미디어 포용 환경 구현을 위해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한편, 방통위는 시·청각장애인이 어떤 유료방송을 선택하더라도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협력 사업자를 확대해 나가겠단 입장이다.

올해는 하반기 중에 사업자 선정을 위한 공모를 추진할 예정이다.

양현주기자 hjyang@wowtv.co.kr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