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이노의 파격선언…"주력에서 정유 빼고, 그린사업에 30조 투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스토리 데이' 행사서 발표
친환경 기업 전환
탄소서 그린중심으로 사업 변경
폐배터리서 리튬 뽑아 사업화
친환경 기업 전환
탄소서 그린중심으로 사업 변경
폐배터리서 리튬 뽑아 사업화
SK는 1980년 정유사업에 진출했다. 국영기업 대한석유공사를 인수하면서다. 회사 이름은 유공으로 바뀌었고, 이후 SK에너지를 거쳐 지금의 SK이노베이션이 됐다. 석유파동과 글로벌 금융위기 등 숱한 고비를 견디며 통신(SK텔레콤), 반도체(SK하이닉스) 등 현재 그룹 주력 계열사의 ‘종잣돈’을 대는 맏형 역할을 했다.
하지만 ‘탄소중립’이란 시대적 소명을 거스를 수는 어렵다고 판단해 사업 시작 40여 년 만에 정유사업의 점진적 축소 의지를 밝혔다. 대신 배터리 등 ‘그린 사업’을 대대적으로 키우기로 했다. 김준 SK이노베이션 총괄사장은 “사업의 중심축을 탄소에서 그린으로 완전히 바꾸겠다”고 강조했다.
우선 배터리 사업 확장에 자원을 쏟아붓기로 했다. 김 사장은 “배터리 수주 잔량이 1000GWh(기가와트시)를 넘겼다”고 공개했다. 금액으로는 130조원어치다. 중국 CATL, LG에너지솔루션의 수주 잔량이 1000GWh 이상이다. 배터리 사업에서 ‘글로벌 톱3’를 달성했다는 의미다. 현재 생산능력이 40GWh 수준인 것을 감안하면 25년치 일감을 확보한 셈이다. 김 사장은 “이 물량을 처리하기 위해 생산능력을 2023년 85GWh, 2025년 200GWh, 2030년 500GWh까지 늘리겠다”고 했다. 또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 기준 올해 흑자를 달성하고, 2023년엔 1조원까지 이익 규모를 늘리겠다”고 했다.
배터리 소재인 분리막 사업 확장 계획도 밝혔다. “생산능력을 현재 14억㎡에서 2023년 21억㎡로, 2025년에는 40억㎡까지 늘려 세계 1위 위상을 확고히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2025년 분리막에서 1조4000억원 이상 이익을 내겠다고도 했다.
버려진 플라스틱을 원료로 다시 플라스틱을 생산하는 사업도 추진한다. 나 사장은 “플라스틱만 원활하게 재활용한다면 성장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2027년 연 250만t 이상의 플라스틱을 재활용해 원료의 100%를 충당할 것”이라고 했다. 이 사업에서 2025년 연 6000억원의 이익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했다.
안재광 기자 ahnjk@hankyung.com
○“배터리 수주 잔액 130조원”
SK이노베이션은 1일 ‘스토리 데이’란 이름의 행사를 열었다. 김 사장뿐 아니라 조경목 SK에너지 사장, 나경수 SK종합화학 사장, 노재석 SK아이이테크놀로지 사장 등 주요 계열사 대표가 모두 출동했다. 사외이사인 김종훈 이사회 의장까지 연단에 섰다. SK이노베이션의 변화 의지가 강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였다. 이 자리에서 김 사장은 “근본적 혁신을 하겠다”고 선언했다.우선 배터리 사업 확장에 자원을 쏟아붓기로 했다. 김 사장은 “배터리 수주 잔량이 1000GWh(기가와트시)를 넘겼다”고 공개했다. 금액으로는 130조원어치다. 중국 CATL, LG에너지솔루션의 수주 잔량이 1000GWh 이상이다. 배터리 사업에서 ‘글로벌 톱3’를 달성했다는 의미다. 현재 생산능력이 40GWh 수준인 것을 감안하면 25년치 일감을 확보한 셈이다. 김 사장은 “이 물량을 처리하기 위해 생산능력을 2023년 85GWh, 2025년 200GWh, 2030년 500GWh까지 늘리겠다”고 했다. 또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 기준 올해 흑자를 달성하고, 2023년엔 1조원까지 이익 규모를 늘리겠다”고 했다.
배터리 소재인 분리막 사업 확장 계획도 밝혔다. “생산능력을 현재 14억㎡에서 2023년 21억㎡로, 2025년에는 40억㎡까지 늘려 세계 1위 위상을 확고히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2025년 분리막에서 1조4000억원 이상 이익을 내겠다고도 했다.
○폐배터리에서 리튬 추출
쓰레기에서 자원을 캐는 것을 또 다른 성장동력으로 키우기로 했다. 폐배터리에서 수산화 리튬을 뽑아내는 사업을 상업화하기로 한 것이다. 기존 리튬광산에서 캐던 것을 대체해 탄소를 40~70% 절감하고 원가도 낮출 수 있다는 계산이다. 김 사장은 “54건의 관련 특허를 출원했고, 내년 시험 생산을 위한 공장 설립도 진행 중”이라며 “2024년 상업 생산이 이뤄지면 2025년 연 30GWh에 이르는 배터리를 재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 사업에서만 연 3000억원의 이익을 창출할 수 있다고 했다.버려진 플라스틱을 원료로 다시 플라스틱을 생산하는 사업도 추진한다. 나 사장은 “플라스틱만 원활하게 재활용한다면 성장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2027년 연 250만t 이상의 플라스틱을 재활용해 원료의 100%를 충당할 것”이라고 했다. 이 사업에서 2025년 연 6000억원의 이익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했다.
○휘발유·경유 생산은 중단 검토
정유사업은 투자하지 않거나 사업을 전환해 점진적으로 줄여 나가기로 했다. 김 사장은 “그린 사업을 위한 자원 조달 면에서 매각과 상장을 전부 검토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정유는 설비투자가 어렵고 당장 매각도 쉽지 않다”며 “사업을 하면서 가치를 높이는 작업을 할 것”이라고 했다. 정유·화학에서 연 1200만t의 온실가스가 나오는데 탄소배출권 가격이 계속 오르고 있어 2030년 6조원을 비용으로 내야 하는 만큼 대응하지 않을 수 없다는 설명이다. 조 사장은 “극단적으로 휘발유, 경유 등 육상 운송 기름을 생산하지 않을 수 있다”며 “나프타 등 석유화학 제품으로 전환하는 것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안재광 기자 ahnj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