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5인 이상 모임금지 연장"..."한 달은 지켜봐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코로나19가 수도권을 중심으로 급확산하자 일단 현행 거리두기 체계를 오는 7일까지 1주일 더 유지하면서 상황을 지켜보기로 한 것이다.
ADVERTISEMENT
수도권에서는 당초 7월 1일부터 시행되는 새 거리두기에 따라 첫 2주간(1∼14일)은 사적모임 인원이 6명까지 허용되고, 이후로는 8명까지 확대될 예정이었다. 또 다중이용시설의 영업시간도 밤 12시까지로 2시간 늘어나게 돼 있었다.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는 30일 오후 각각 긴급 보도자료를 내고 현행 거리두기 1주일 연장 방침을 발표했다.
ADVERTISEMENT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도 이날 별도의 입장자료를 내고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가 새로운 거리두기 체계 적용을 1주간 유예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중대본은 "오늘 아침 중대본 회의 논의에서는 수도권 상황이 엄중하므로 새로운 거리두기 체계를 1일부터 적용하되 단계 기준 초과 시 3단계로 격상을 하기로 하고, 지자체별로 2주간(1∼14)의 이행기간 동안 방역을 최대한 강화하기로 논의했다"고 설명했다.
ADVERTISEMENT
중대본은 "정부는 수도권 지자체들의 자율적 결정을 존중해 1주간의 유예 기간을 가져가는 데 동의한다"며 "수도권 지자체들과 함께 수도권에서의 코로나19 유행을 안정화시키는 데 총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중대본은 당초 오전 정례 브리핑 때만 해도 "새로운 거리두기 체계는 예정대로 7월 1일부터 시행될 것"이라고 단언했으나, 수도권의 감염 상황이 갈수록 심각해 지고 서울·경기·인천 3개 시도가 1주일 유예를 공식 건의하자 결국 이를 수용했다.
ADVERTISEMENT
감염병 전문가들은 그동안 백신 접종률이 아직 충분히 높지 않은 상황에서 방역 조치를 한꺼번에 완화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지적해 왔다.
수도권 급확산세의 원인에 대해서는 전파력이 더 센 인도 유래 `델타형` 변이 바이러스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이미 델타 변이가 (영국에서 유래한) `알파 변이`를 뛰어넘어 우세종으로 가고 있는 시점에서 거리두기를 완화하는 것은 굉장히 우려스러운 것"이라면서 "앞으로 최소 한 달은 (새 거리두기를 연기하고)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천 교수는 "이미 2주 전에 감염된 사람들이 지금 확진자로 나타나는 것이기 때문에 수도권에서는 현재 상황을 유지하더라도 당분간 확산세가 이어질 것"이라면서 "전체적인 확진자 수를 줄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사진=연합뉴스)
최진욱기자 jwchoi@wowtv.co.kr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