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거품을 어느 정도 걷어낸 골프 시장이 골프를 진심으로 즐기고 시간과 돈을 아끼지 않는 ‘진성 골퍼’를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 샤프트나 그립까지 브랜드를 꼼꼼히 따져가면서 구매하는 골퍼들이 늘어나면서 세부적인 시장도 성장하고 있다.이런 흐름 속에서 국내 샤프트 시장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벤투스로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후지쿠라, 그라파이트디자인으로 유명한 투어AD, 디아마나를 앞세운 미츠비시 케미컬이 ‘삼대장’으로 불리는 가운데, 신생 샤프트 브랜드인 아르테라(Aretera)가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 동시 론칭을 예고하면서다.31일 골프업계에 따르면 프리미엄 골프 브랜드 PXG의 공식 수입원인 카네는 4월 초 아르테타의 EC1 샤프트를 공개할 예정이다. 아르테타는 스코티 셰플러(미국), 로리 매킬로이(북아일랜드) 등이 쓰는 벤투스를 디자인한 핵심 인력이자 후지쿠라 부사장 겸 R&D 책임자를 역임한 알렉스 디(미국)가 설립한 신생 회사다.국내 샤프트 시장의 규모는 약 120억원에 불과하지만, 기업들이 이 ‘작은 링’에 뛰어드는 건 그만큼 성장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미국 조사업체 비즈니스리서치인사이트는 지난해 세계 샤프트 시장의 규모는 3억7790만달러(약 5500억원)로, 2028년엔 4억2540만달러 규모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미국 글로벌마켓인사이트는 글로벌 샤프트 시장이 2032년까지 4억7140만달러(약 6900억원)로 커질 것으로 예상하면서 “맞춤형 샤프트를 찾는 골퍼들이 늘어남에 따라 시장 규모가 커질 것”이라고 했다.국내 골프 샤프트 시장은 브랜드 간 서열 정리가 끝나지 않은 기회의 땅으로도 평가받는
31일 미국 애리조나주 챈들러의 월윈드GC(파72) 18번홀(파4). 연장 1차전에서 김효주(30)의 티샷을 맞고 페어웨이에 자리 잡은 공 위에 무당벌레 한 마리가 앉았다. 세계랭킹 6위 릴리아 부(미국)와 물러설 수 없는 승부를 펼치는 순간, 김효주는 무당벌레가 날아가길 기다린 뒤 두 번째 샷을 쳤다. 부의 공은 핀에서 3m, 김효주의 공은 1.5m. 부의 버디퍼트가 홀을 비켜간 뒤 김효주는 가볍게 버디퍼트를 잡아내 우승을 확정 지었다. 1년5개월여 만에 달성한 투어 통산 7승. 김효주는 “서둘러 치려다가 무당벌레가 날아가길 기다린 것이 저에게 행운이었다”며 활짝 웃었다.김효주가 미국여자프로골프(LPGA)투어 포드 챔피언십(총상금 225만달러) 마지막 라운드에서 버디 9개, 보기 1개로 8타를 줄이며 짜릿한 역전승을 거뒀다. 우승상금 33만7500달러(약 5억원)를 추가해 LPGA투어 역대 28번째로 통산상금 1000만달러 클럽에 이름을 올렸다. 한국 선수로는 박인비, 양희영, 고진영 등에 이어 아홉 번째다. ◇“중학교 이후 퍼팅 가장 많이 연습”김효주는 완벽한 스윙으로 유명하다. 유연한 몸을 이용한 완벽한 스윙템포, 다양한 쇼트게임 기술은 그의 트레이드마크다. 그에게는 늘 ‘골프천재’라는 말이 따라다녔고, 수많은 프로가 그를 롤모델로 꼽았다.2012년 10월 프로로 데뷔한 뒤 한국 무대를 일찌감치 평정했고, 2014년 비회원 자격으로 참가한 2014년 에비앙 챔피언십에서 우승하며 미국으로 무대를 옮겼다. 2023년 10월 볼런티어스 오브 아메리카까지 6승을 올리는 등 한국 여자골프의 간판 역할을 톡톡히 했다.지난해 김효주는 다소 침체를 겪었다. 18번 출전한 LPGA투어 대회에서 톱10을 세 번 기록하는
남자골프 세계랭킹 2위 로리 매킬로이(36·북아일랜드)가 ‘골프 황제’ 타이거 우즈(미국)에 이어 사상 두 번째로 통산 상금 1억달러를 돌파했다.매킬로이는 30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의 메모리얼파크 골프코스(파70)에서 끝난 미국프로골프(PGA)투어 텍사스 칠드런스 휴스턴오픈에서 최종 합계 15언더파 265타로 공동 5위에 올랐다. 윈덤 클라크(미국), 테일러 펜드리스(캐나다), 알레한드로 토스티(아르헨티나) 등 세 명과 함께 공동 5위로 대회를 마친 매킬로이는 33만7843달러의 상금을 추가해 통산 상금을 1억4만6905달러로 늘렸다.PGA투어에서 통산 상금 1억달러 이상을 번 선수는 우즈에 이어 매킬로이가 두 번째다. 2010년 PGA투어에 데뷔한 매킬로이는 지금까지 262경기에서 메이저 4승을 포함해 28승을 거뒀다. 2012년 통산 상금 1억달러를 돌파한 우즈는 PGA투어에서 메이저 15승 포함 82승(378경기)을 거둬 현재까지 1억2099만9166달러의 누적 상금액을 기록하고 있다.우즈가 PGA투어 사상 처음으로 통산 상금 1억달러를 돌파했을 때만 해도 또 다른 ‘1억달러 사나이’의 등장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다. 우즈의 라이벌이던 필 미컬슨(미국)도 2022년 LIV골프로 이적하기 전까지 통산 666개 대회에 출전해 9668만5635달러를 벌어 1억달러 고지에 오르지 못했다.그러나 LIV골프의 등장에 PGA투어가 스타 선수의 유출을 막기 위해 상금을 대폭 증액하면서 선수들의 수입도 눈에 띄게 늘어났다. 올 시즌 2승을 기록 중인 매킬로이는 5개 대회에서만 905만7558달러를 벌었다. 미국 골프다이제스트는 “매킬로이의 최근 경기력을 고려할 때 최소 세 시즌 안에 우즈의 기록을 넘어설 것”이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