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국 사정도 어려운데'…북한, 미얀마에 30만 달러 인도적 지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 "북한의 타국 인도적 지원, 2011년 이후 처음"
북한이 유엔을 통해 미얀마에 30만 달러(약 3억4천만 원) 규모의 인도적 지원에 나선 것으로 확인됐다.
17일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 재정확인서비스가 공개한 올해 지원 내용을 보면 북한이 '미얀마 인도주의적 대응 계획 2021' 사업에 30만 달러를 기여했다.
이 사업은 인도주의적 위기에 처한 미얀마 주민 9만여 명을 대상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과 자연재해 대처·식량·위생 등을 지원한다.
지금까지 한국과 미국, 일본, 캐나다, 스웨덴, 스위스, 영국, 덴마크, 노르웨이 등 14개국 정부와 EU 대외지원기구가 지원금을 내 총 5천116만 달러가 모금됐다.
공산권 국가로는 북한이 유일하다.
한국은 여기에 총 60만 달러(약 6억7천만 원)를 지원했다.
OCHA 집계에 따르면 북한이 유엔의 인도 사업에 자금을 지원한 것은 2010년이 마지막이다.
자국의 경제 사정도 녹록지 않은 북한이 11년 만에 타국에 대한 인도적 지원에 나서면서 그 대상이 미얀마인 배경도 주목된다.
미얀마는 지난 2월 군부가 쿠데타를 통해 정권을 잡은 이후 반군부 시위가 이어지는 데다 코로나19 사태까지 맞물리면서 많은 주민이 인도적 위기에 몰려있다.
미얀마는 북한의 전통적 우방으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지난 1월 미얀마 대통령에게 독립 73주년을 맞아 축전을 보내 "두 나라 사이의 전통적인 친선 협조 관계가 새 시대의 요구에 맞게 더욱 강화 발전될 것이라 확신한다"고 전하기도 했다.
특히 북한 정권은 미얀마 군부와 돈독한 관계를 유지해 온 것으로 파악된다.
앞서 유엔 미얀마진상조사단은 2019년 미얀마 군부에 관한 보고서에서 북한 조선광업개발무역회사(KOMID)가 2016년 이후에도 미얀마 군부에 무기를 이전했다고 밝힌 바 있다.
따라서 북한이 미얀마와 우호적 관계를 고려해 인도 지원에 나섰을 수도 있지만, 유엔을 통한 인도 지원은 군부보다는 주민에 직접적인 혜택이 돌아간다는 점에서 다른 배경이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연합뉴스
17일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 재정확인서비스가 공개한 올해 지원 내용을 보면 북한이 '미얀마 인도주의적 대응 계획 2021' 사업에 30만 달러를 기여했다.
이 사업은 인도주의적 위기에 처한 미얀마 주민 9만여 명을 대상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과 자연재해 대처·식량·위생 등을 지원한다.
지금까지 한국과 미국, 일본, 캐나다, 스웨덴, 스위스, 영국, 덴마크, 노르웨이 등 14개국 정부와 EU 대외지원기구가 지원금을 내 총 5천116만 달러가 모금됐다.
공산권 국가로는 북한이 유일하다.
한국은 여기에 총 60만 달러(약 6억7천만 원)를 지원했다.
OCHA 집계에 따르면 북한이 유엔의 인도 사업에 자금을 지원한 것은 2010년이 마지막이다.
자국의 경제 사정도 녹록지 않은 북한이 11년 만에 타국에 대한 인도적 지원에 나서면서 그 대상이 미얀마인 배경도 주목된다.
미얀마는 지난 2월 군부가 쿠데타를 통해 정권을 잡은 이후 반군부 시위가 이어지는 데다 코로나19 사태까지 맞물리면서 많은 주민이 인도적 위기에 몰려있다.
미얀마는 북한의 전통적 우방으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지난 1월 미얀마 대통령에게 독립 73주년을 맞아 축전을 보내 "두 나라 사이의 전통적인 친선 협조 관계가 새 시대의 요구에 맞게 더욱 강화 발전될 것이라 확신한다"고 전하기도 했다.
특히 북한 정권은 미얀마 군부와 돈독한 관계를 유지해 온 것으로 파악된다.
앞서 유엔 미얀마진상조사단은 2019년 미얀마 군부에 관한 보고서에서 북한 조선광업개발무역회사(KOMID)가 2016년 이후에도 미얀마 군부에 무기를 이전했다고 밝힌 바 있다.
따라서 북한이 미얀마와 우호적 관계를 고려해 인도 지원에 나섰을 수도 있지만, 유엔을 통한 인도 지원은 군부보다는 주민에 직접적인 혜택이 돌아간다는 점에서 다른 배경이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