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모건 "강한 고용보고서 나와야 Fed가 긴축 시작"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ING는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이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완화 정책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며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시그널이 예전보다 가까워졌다고 볼 수는 있겠지만 당장 연준은 아무것도 서두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Markowska는 지난 5월 실망스러운 고용 보고서를 지적하며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금리 인상 예측 시기를 앞당길 만큼 충분한 데이터 변화가 있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JP모건 역시 "강한 고용보고서가 나와야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이 긴축을 시작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할 것"이라 밝혔다.
ADVERTISEMENT
한편, 웰스파고의 슈마허(Schumacher)는 "금리 인상은 빨라야 2024년"이라는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전망보다 이른 2023년에 인플레이션이 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슈마허는 "중앙은행 간부들이 연방정부 기금의 목표 금리 인상 가능성을 보는 것은 사상 처음"이라며 "만약 인플레이션(물가 상승률)이 예상보다 더 높다면, 연방준비제도(연준·Fed) 과반수가 2024년으로 전망한 첫 금리인상 시기가 앞당겨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ADVERTISEMENT
CNBC는 “연준의 테이퍼링 논의가 여름 내내 시장을 긴장시킬 수 있다”고 했다.
올해 연준 FOMC 정례회의는 6월 15~16일, 7월 27~28일, 9월 21~22일, 11월 2~3일, 12월 14~15일 등 총 다섯 차례 남았다. 오는 8월 주요국 중앙은행 총재들이 참석하는 캔사스시티 연은 주최 연례 경제 심포지엄인 잭슨홀 미팅도 주목할 만하다.
ADVERTISEMENT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