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사태 위험지도·예보시스템 고도화…'K-산사태 방지대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산림청, 산사태 취약지역·재해 위험성 검토 대상 확대
산림청이 첨단기술을 활용해 산사태 예보 시스템을 고도화하는 등 산사태 피해 줄이기에 적극적으로 나선다.
산사태 취약지역 지정과 재해 위험성 검토 대상을 늘리는 등 피해 우려 지역 관리도 강화한다.
산림청은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하는 '케이(K)-산사태 방지대책'을 마련해 추진한다고 1일 밝혔다.
내년까지 실시간 강우 상황을 반영한 산사태 위험지도를 구축한다.
강우 상황에 따른 위험등급 변화를 정확히 예보하기 위해서다.
현재 1시간 전(초단기) 지방자치단체에 제공하는 산사태 예측정보(주의보·경보)와 관련해 앞으로는 제공 시기를 12∼24시간 전(단기)이나 24∼48시간 전(중기)로 앞당겨 선제 주민대피가 이뤄지도록 한다.
올해 하반기 기상청의 초단기 예보모델(KLAPS)을 활용해 12시간 전까지 제공할 수 있도록 시범 운영한다.
전국 363곳의 산악기상관측망도 2025년까지 620곳으로 늘린다.
산사태 피해 우려 지역 관리범위를 넓히고 재해에 강한 숲을 조성하며, 사방사업 확대 등 구조물 대책도 지속해서 시행한다.
최근 3년간 30㏊ 이상 목재 수확지(벌채지) 108곳은 산림청 주관으로, 5㏊ 이상 2천21곳은 지방산림청·지자체 주관으로 이달 초순까지 철저히 점검하고 예방 조치한다.
올해 예정된 사방댐 390곳, 계류보전 323㎞, 산지사방 159㏊ 등은 장마 전까지 마친다.
산사태 취약지역 확대 지정을 위해 지난해 5천곳씩 진행되던 기초조사를 올해부터 1만8천곳으로 늘린다.
2㏊ 이상 산지 개발 때 시행하는 재해 위험성 검토를 660㎡ 이상으로 확대하고, 태양광 발전시설은 면적과 관계없이 모두 시행한다.
김용관 산림청 산림보호국장은 "지난해 같은 기록적인 폭우나 태풍이 오더라도 K-산사태 방지대책을 기반으로 인명과 재산피해를 최소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산사태 취약지역 지정과 재해 위험성 검토 대상을 늘리는 등 피해 우려 지역 관리도 강화한다.
산림청은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하는 '케이(K)-산사태 방지대책'을 마련해 추진한다고 1일 밝혔다.
내년까지 실시간 강우 상황을 반영한 산사태 위험지도를 구축한다.
강우 상황에 따른 위험등급 변화를 정확히 예보하기 위해서다.
현재 1시간 전(초단기) 지방자치단체에 제공하는 산사태 예측정보(주의보·경보)와 관련해 앞으로는 제공 시기를 12∼24시간 전(단기)이나 24∼48시간 전(중기)로 앞당겨 선제 주민대피가 이뤄지도록 한다.
올해 하반기 기상청의 초단기 예보모델(KLAPS)을 활용해 12시간 전까지 제공할 수 있도록 시범 운영한다.
전국 363곳의 산악기상관측망도 2025년까지 620곳으로 늘린다.
산사태 피해 우려 지역 관리범위를 넓히고 재해에 강한 숲을 조성하며, 사방사업 확대 등 구조물 대책도 지속해서 시행한다.
최근 3년간 30㏊ 이상 목재 수확지(벌채지) 108곳은 산림청 주관으로, 5㏊ 이상 2천21곳은 지방산림청·지자체 주관으로 이달 초순까지 철저히 점검하고 예방 조치한다.
올해 예정된 사방댐 390곳, 계류보전 323㎞, 산지사방 159㏊ 등은 장마 전까지 마친다.
산사태 취약지역 확대 지정을 위해 지난해 5천곳씩 진행되던 기초조사를 올해부터 1만8천곳으로 늘린다.
2㏊ 이상 산지 개발 때 시행하는 재해 위험성 검토를 660㎡ 이상으로 확대하고, 태양광 발전시설은 면적과 관계없이 모두 시행한다.
김용관 산림청 산림보호국장은 "지난해 같은 기록적인 폭우나 태풍이 오더라도 K-산사태 방지대책을 기반으로 인명과 재산피해를 최소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