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인 테마주'가 무더기로 급등세를 나타냈다. 이들 테마주는 최근 3거래일 간 거래량과 회전율(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된 주식수)도 최상위권이다. 증권가에서는 급등락 사유가 뚜렷하지 않은 기업에는 신중히 투자해야 한다고 당부한다.2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6일부터 28일까지 3거래일 동안 코스닥 상장사 형지I&C는 79.46% 급등했다. 이 기간 전체 상장사들 가운데 상승률 1위다. 해당 기간 형지글로벌(68.93%)과 KD(63.6%), 오리엔트정공(41.02%), 오리엔트바이오(37.38%), 형지엘리트(37.38%), 제이준코스메틱(35.29%), 이스타코(29.73%) 등도 급등했다.기간 합계로 보면 모두 크게 올랐지만, 사흘째인 28일에는 종목별로 엇갈린 흐름을 보였다. 형지글로벌은 상한가를 기록했지만 오리엔트정공과 오리엔트바이오는 10%대 급락했다.주가가 크게 요동친 것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2심서 무죄가 선고되면서다. 지난 26일은 이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에 대한 항소심 선고가 난 날이다. 서울고법은 이 대표에 대해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한 1심 판결을 깨고 무죄를 선고했다.의류 제조와 도소매 등이 주력사업인 형지I&C는 이 대표가 경기도지사 시절 발표한 무상교육 정책의 수혜주로 꼽혀왔다. 형지그룹주는 같은 이유로 묶였다.오리엔트정공과 오리엔트바이오는 같은 계열사인 '오리엔트시계'의 공장에서 과거 이재명 대표가 청소년 시절 근무한 이력이 있다는 이유로 관련주가 됐다. 이 대표는 앞선 2017년 1월 이 공장에서 생애 첫 대선(19대) 출마를 선언한 바 있다. 하지만 자동차부품생산 기업 오리엔트정공과 생물소재 기업 오리엔트바이오는 오리엔트시계와 같은 오리엔트그
트럼프 대통령의 다음주 상호관세 발표를 앞두고 관망세가 짙은 가운데 예상보다 높은 인플레이션, 악화한 소비자 심리, 기업의 실적 경고 등 악재가 쏟아졌습니다. 다음주 '해방의 날', 그리고 주말을 앞두고 위험 회피 심리가 확산하면서 투매가 발생했습니다. 반면 '안전자산' 금은 온스당 3100달러를 돌파하며 신기록 행진을 이어갔습니다. 1. 물가는 높고, 소비는 걱정됐다오전 8시 30분 미 중앙은행(Fed)가 선호하는 물가 지표죠. 개인소비지출(PCE) 디플레이터 2월 데이터가 나왔습니다.▷PCE 물가(전월 대비): 0.3% (예상 0.3%, 1월 0.3%)▷PCE 물가(전년 대비): 2.5% (예상 2.5%, 1월 2.5%)▷근원 PCE 물가(전월 대비): 0.4% (예상 0.3%, 1월 0.3%)▷근원 PCE 물가(전년 대비): 2.8% (예상 2.7%, 1월 2.6%)▷개인 소득: 0.8% (예상 0.4%, 1월 0.7%)▷개인 소비: 0.4% (예상 0.5%, 1월 -0.3%)▷실질 개인 소비: 0.1% (예상 0.3%, 1월 -0.6%)헤드라인은 한 달 전에 비해 0.3%, 1년 전보다 2.5% 상승했습니다. 에너지와 음식을 제외한 근원 물가는 전월 대비 0.4%, 전년 대비로는 2.8% 올랐습니다. 정확히 하면 근원 PCE 물가가 Fed 물가 벤치마크인데요. 2월 데이터는 1월(0.3%, 2.6%)보다 상당히 반등한 것입니다. 월가 예상보다도 높고요.근원 물가의 전월 대비 수치는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따지면 0.37% 올랐는데요. 1월의 0.28%보다 많이 높아졌습니다. 또 지난 6개월 치 상승률을 연율 환산하면 3.1%이고요. 3개월 치는 3.5%입니다. 오름세가 가팔라지고 있다는 얘기입니다. 2월 물가를 세부적으로 보면 근원 상품 물가가 0.41% 상승한 것으로 나왔습니다. 상품 물가는 지난 2년간 하락하면서 디스인플레이션을 주도해온 요인이었는데요. 이게 관세 위협 등으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관세정책 불확실성 속에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뉴욕증시가 급락했다.28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715.80포인트(-1.69%) 내린 41,583.90에 거래를 마쳤다.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112.37포인트(-1.97%) 내린 5580.94에,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481.04포인트(-2.70%) 떨어진 17,322.99에 각각 마감했다. S&P 500 지수는 이날 지난 3월 10일(-2.7%) 이후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 지난 1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두 번째로 큰 일일 낙폭이다.이날 발표된 2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8%, 전월 대비 0.4% 올라 전문가 예상을 웃돌았다.함께 발표된 2월 실질 개인소비지출 증가율이 전월 대비 0.1%(명목 증가율 0.4%)에 머문 것도 인플레이션 우려와 함께 소비 둔화 우려를 키웠다.이후 오전 장중 미시간대가 발표한 미국의 소비자 심리지수는 2022년 9월 이후 최저치로 떨어지며 예상했던 것보다 더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이날 발표된 물가 및 소비심리 지표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과 맞물려 투자심리를 급속히 냉각시켰다.테슬라(-3.53%), 엔비디아(-1.58%), 메타(-4.29%), 아마존(-4.33%), 마이크로소프트(-3.02%), 알파벳(-4.88%), 애플(-2.68%) 등 '매그니피센트 7' 종목이 일제히 하락했다.미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의 변동성지수(VIX)는 전 거래일보다 2.96포인트 오른 21.65로 상승해 다시 20선 위로 올랐다.인플레이션 우려에도 불구하고 경기침체 공포가 더욱 부각되면서 미 국채 수익률은 하락했다.전자거래 플랫폼 트레이드웹에 따르면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이날 뉴욕증시 마감 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