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보급률 20% 미만인 점 고려하면 대다수는 활용 쉽지 않을 듯
북한에서도 노동자들의 일과 학업 병행을 위해 남한의 '사이버대학'과 유사한 교육이 주목을 받고 있다.

재일조선인총연합회(조선총련) 기관지 조선신보는 19일 북한에서 원격 교육을 통해 수많은 기술 인재가 배출되고 있다며 현재 시행 중인 원격교육법을 자세히 소개했다.

원격교육법은 지난해 4월 열린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3차 회의에서 채택된 법으로, 인재를 육성해 과학기술을 발전시킴으로써 자립경제를 건설하겠다는 김정은 정권 전략의 하나로 평가된다.

이 법은 종합대학과 중요 부문별 대학에 원격교육학부를 두고 관련 설비와 홈페이지 등을 통한 원격교육체계를 갖추도록 규정했다.

이에 따라 김일성종합대학과 한덕수평양경공업대학 등 수십여 대학들이 원격교육대학을 운영하고 있다고 북한은 내세우고 있다.

원격교육학부 내 학과는 대학별 특징과 부문별 직종·교육발전 추세 등을 고려해 결정한다.

학생 모집과 관련해서는 '희망하는 모든 공민'을 원격교육을 받는 학생으로 명시해 직장인·노동자·주부 등 다양한 입학생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남한 종합대학이 '○○사이버대학'을 설립해 기존 대학생들 외에 다양한 대상들에 교육을 제공하는 것과 비슷한 모양새다.

다만 북한에서 원격교육을 받으려면 개인 희망만으로는 안 되고 반드시 기관이나 기업소, 단체의 추천을 받아야 한다.

정해진 입학 기간이 있는 남한의 사이버대학들과 달리 북한의 원격교육학부는 연중 언제든지 추천을 받고, 그때그때 접수한 문건을 심의해 입학 통지서를 발급한다.

또 각기 독립된 대학들이 각자 학생들을 모집하는 남한과 달리 북한에서는 원격교육을 받는 학생이 승인만 받으면 다른 대학이나 학과로 전학·전과할 수 있다는 것도 차이점이다.

학습 관리도 엄격해 특별한 이유가 없이 1년 이상 학습하지 않은 학생은 제명하도록 규정했다.

원격교육 과정인 만큼 시험도 원격으로 치르기는 하지만, 정해진 장소에서 컴퓨터망을 통해 진행된다고 신문은 소개했다.

부정행위 등을 방지하기 위해 시험을 치르는 장소가 따로 규정돼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신문은 이 같은 원격교육이 확립된 데는 지난 2006년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김책공업종합대학 시찰이 계기가 됐다고 설명했다.

당시 연구 사업으로 추진되던 대학 내 원격강의 장면을 본 김정일 위원장이 공장 노동자들이나 지방 학생들로 원격 교육 대상을 확대할 것을 지시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북한 가정의 컴퓨터 보급률이 20%가 채 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하면 대다수 주민은 이와 같은 원격교육을 활용하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관측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