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 "전북인구 179만인데 270만 과대계상"…전북 "원래 설계대로 공급"
충청권 4개시도 정부에 건의…"대청댐 수리권·인구 고려해 분배해야"
용담댐 물 더 쓰겠다는 충청, 못 주겠다는 전북…물 분쟁 조짐
금강 물 사용을 두고 충청권 4개 시도와 전북이 분쟁 조짐을 보이고 있다.

6일 충청권 지자체에 따르면 대전·세종·충남북 등 4개 시도는 최근 국가물관리위원회 소속 금강물관리위원회에 전북 용담댐 물 공급량을 재조정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용담댐은 충청권과 전북 간에 20년간 한시적으로 체결한 물 배분 계획이 올해 말로 만료돼 조만간 재조정해야 한다.

금강유역 금강수계에 건설된 용담댐의 하루 물 공급량은 178만t인데 1991년 댐 기본계획을 만들 당시 전북에 135만t, 충청권에 43만t을 공급하는 것으로 설계됐다.

그러나 전북에 너무 많은 물이 공급된다는 반발이 거세지자 2002년부터 2021년까지 한시적으로 충청권에 75만t, 전북에 103만t을 공급하는 것으로 조정했다.

문제는 내년 물 재배분을 앞두고 충청권은 물 공급량을 더 늘려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전북은 1991년 수립한 기본계획 안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맞서면서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용담댐 물 더 쓰겠다는 충청, 못 주겠다는 전북…물 분쟁 조짐
이에 대해 충청권은 1991년 만든 용담댐 활용 기본계획이 애초 잘못됐다고 강조했다.

충남도 관계자는 "용담댐 기본계획에는 2021년 전북 인구를 389만명으로 과대 계상했다가 주변 반발이 거세지자 270만명으로 낮췄다"며 "하지만 현재 전북 인구는 179만명으로 계획보다 100만명 가량 더 적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인구가 적으면 물 공급량도 그만큼 줄여야 한다는 게 충청권의 주장이다.

더욱이 통계청이 발표하는 인구 통계 추세를 보면 전북 인구는 2045년이면 160만명으로 더 줄어든다.

반면 충청권 4개 시도는 현재 550만명에서 570만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인구가 예상보다 적다 보니 전북은 현재 용담댐에서 공급하는 물도 다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 3년간 전북의 물 사용량을 조사했더니 용담댐 공급량 103만t 중 65만9천t만을 사용하는 데 그치고 있다고 충청권 4개 시도는 설명했다.

이런 상황에도 전북은 댐 기본계획 당시 설정한 135만t의 물을 모두 사용하겠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전북은 현재 135만t이라는 용담댐 물 공급량에 맞는 물 수요를 맞추기 위해 자체적으로 용수공급 계획을 변경하고 있다.

전북은 최근 정읍시의 수원지를 섬진강댐에서 용담댐으로 대체하고, 전주·익산·완주 지역 공업용수 취수지를 만경천에서 용담댐으로 변경한다고 밝혔다.

충청권 역시 이번 건의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국가물관리위원회에 물 분쟁 조정신청까지 불사하겠다는 입장이어서 실마리를 찾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충청권 4개 지자체는 "금강유역에 용담댐이 건설된 이후 기존에 있던 대청댐으로 유입되는 물이 하루 평균 57만t가량 감소해 수질마저 악화하고 있다"며 "용담댐 물을 재분배할 때 기존 대청댐 수리권을 인정하고, 인구 증가 추이를 고려해 공급량을 재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