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11개 보 개방 관측 결과 공개…물 환경지표 개선
금강·영산강 등 보 개방하자 황새 등 멸종위기종 다시 돌아와
금강, 영산강 등의 11개 보(洑)를 개방한 결과 생태계 건강성 등의 물 환경 지표가 개선되고, 흰수마자·황새·흑두루미 등 멸종위기종이 도래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금강, 영산강, 낙동강 등에서 개방한 11개 보에 대해 2017년 6월부터 2020년 하반기까지 모니터링한 결과를 13일 공개했다.

이 11개 보 중 완전 개방한 일수가 가장 긴 보는 금강 세종보(1천72일)이고, 낙동강 구미보와 달성보가 각 7일로 가장 짧다.

◇ 보 개방하자 수질·수생태계 개선…금강·영산강 영향↑
먼저 수질 분야에서는 여름철 많이 발생하는 녹조(유해 남조류)가 개방 폭이 컸던 금강, 영산강 보를 중심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2013∼2017년과 유사한 기상 조건이었던 2019년 금강, 영산강의 녹조는 예년 평균과 비교하면 95% 이상 감소했다.

환경부는 이를 보 개방으로 체류시간이 최대 88% 짧아지고 물살이 최대 813% 빨라지는 등 물흐름이 개선된 영향으로 판단했다.

2020년은 많은 강우량의 영향이 더해져 녹조가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이고, 2018년은 짧은 장마 후 극심한 폭염 영향으로 개방 폭이 큰 공주보·승촌보를 제외하고 대부분 보에서 녹조가 예년보다 증가했다.

[표] 수계 평균 여름철(6∼9월) 유해 남조류 세포 수(cells/㎖) 변화 추이

┌─────┬─────┬───┬───┬───┬────┬────┬───┐
│ 수 계 │예년(2013 │`18년 │ │`19년 │ │ `20년 │ │
│ │ ∼2017) │ ├───┤ ├────┤ ├───┤
│ │ 평균 ① │ │증감(%│ │증감(%) │ │증감(%│
│ │ ├───┤ ) ├───┤(③-①)/├────┤ ) │
│ │ │ ② │(②-①│ ③ │ ① │ ④ │(④-①│
│ │ │ │ )/① │ │ │ │ )/① │
├─────┼─────┼───┼───┼───┼────┼────┼───┤
│ 금강 │ 4,800│10,599│ 121%│ 263│ -95%│ 879│ -82%│
│ │ │ │ │ │ │ │ │
├─────┼─────┼───┼───┼───┼────┼────┼───┤
│ 영산강 │ 4,693│13,189│ 181%│ 163│ -97%│ 186│ -96%│
│ │ │ │ │ │ │ │ │
├─────┼─────┼───┼───┼───┼────┼────┼───┤
│ 낙동강 │ 16,210│29,261│ 81%│21,329│ 32%│ 4,158│ -74%│
│ │ │ │ │ │ │ │ │
└─────┴─────┴───┴───┴───┴────┴────┴───┘

보 개방 후 저층빈산소(용존산소 2㎎/ℓ 이하로, 수생태계 전반에 악영향을 미치는 상태) 또한 발생하지 않거나 빈도가 감소했다.

금강 백제보와 영산강 승촌보의 경우 완전 개방 시기에는 저층빈산소가 관측되지 않았고, 낙동강 하류 달성·합천창녕보에서도 부분 개방 후 발생 빈도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보 구간의 유기물과 영양염류 등과 같은 수질 지표는 보별·항목별로 보 개방 전후 변화가 일률적이지 않고, 강수량 변화 및 상류 유입 지류 오염물질 증감 등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관측됐다.

금강 보 구간을 예로 보면 보 개방 전후 유기물·영양염류 등의 변화는 같은 기간 미호천 등 상류의 유입 농도 증감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퇴적물을 살펴보면 개방 폭이 큰 금강, 영산강 보에서 퇴적물 내 모래 비율이 증가하고 유기물질 함량이 감소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퇴적물 내 모래 비율이 높아지고 유기물질이 감소하면 자정작용이 활발해지고 수중 용존산소량이 증가해 수질·수생태계 개선 효과를 내는 것으로 알려졌다.

퇴적물 내 모래 비율은 영산강 죽산보에서 개방 전 대비 개방 후 1.7배(51.8%→ 88.2%)로 가장 많이 증가했다.

퇴적물 내 유기물질 함량의 경우 금강 공주보에서 개방 전 대비 개방 후 절반가량으로(1.43%→0.67%) 가장 많이 줄었다.

개방 폭이 작았던 낙동강 보에서는 모래 비율 및 유기물 함량 증감 경향이 미
미했다.

금강·영산강 등 보 개방하자 황새 등 멸종위기종 다시 돌아와
◇ 야생생물 서식 환경 개선…생태계 건강성 증가
보 개방 후 물흐름이 빨라지고 깨끗한 모래톱, 자갈밭 등이 조성되는 등 야생생물의 서식 환경이 개선됨에 따라 생태계 건강성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물살이 빠르고 깨끗한 모래가 깔린 수역에서만 서식하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 흰수마자가 2019년 세종보 하류에서 재발견된 후 2020년에는 공주보 상·하류에서도 관측돼 서식 범위가 확대됐다.

영산강·낙동강의 보 대부분은 개방 단계별 잦은 수위 변화, 하굿둑 영향, 적은 개방 폭 등으로 수생태계 변화는 적었다.

[표] 개방 전후 세종·공주보의 어류 및 저서동물건강성지수

┌────────┬─────────────┬──────────────┐
│ 구 분 │ 세종보 │ 공주보 │
│ ├──────┬──────┼───────┬──────┤
│ │개방 전(2013│개방 후(2018│개방 전(2013∼│개방 후(2017│
│ │ ∼2017.10) │ ∼2020.6) │ 2017.5) │.6∼2020.6) │
├────────┼──────┼──────┼───────┼──────┤
│ 어류건강성지수 │ 35.6 │56.6 (59%↑)│ 35.4 │42.0 (19%↑)│
├────────┼──────┼──────┼───────┼──────┤
│ 저서동물 │ 34.6 │63.2 (83%↑)│ 52.6 │42.9 (18%↓)│
│ 건강성지수 │ │ │ │ │
└────────┴──────┴──────┴───────┴──────┘

보 개방 후 모래톱과 수변공간은 각각 축구장 면적의 627배, 2천11배(13개 보 최대 개방 기준) 증가했다.

광범위하게 조성된 모래톱, 하중도, 습지, 식생대 등 공간은 멸종위기 야생생물들을 포함한 다양한 육상생물의 서식·번식·휴식지 기능을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강과 수변공간을 터전으로 살아가는 물새류가 장기간 보를 개방한 금강·영산강 구간에서 지속해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멸종위기 야생생물인 황새와 흑두루미 등 보전 가치가 높은 멸종위기 조류도 관측됐다.

물 이용에서도 보 개방은 영향을 미쳤다.

일부 관측정에서는 지하수위가 보 개방 수준보다 더 큰 폭으로 저하됐으나 대부분의 지하수 관측정에서 지하수위 변동 폭이 보 개방 수준보다 작게 나타났다.

박미자 환경부 4대강 조사·평가단장은 "보를 개방해 3년 이상 관측한 결과 물흐름이 개선되면서 나타난 여러 유의미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올해는 한강·낙동강 보에 대해 지난 2월 유역물관리위원회에서 의결한 내용을 토대로 보 운영 여건을 마련하는 데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환경부는 4대강 개방 보에 대해 2017년 6월부터 수질, 수생태계, 퇴적물 등 14개 분야를 모니터링하고 있다.

이번 2020년 하반기 기준 4대강 보 개방 관측·분석 결과의 자세한 내용은 14일부터 '보 관측(모니터링) 종합정보 시스템(water.nier.go.kr)'에 공개되는 '보 개방·모니터링 종합분석 보고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