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론 머스크가 전기자동차와 우주탐사에 이어 유전자 공학에도 한 획을 그을까. 머스크가 설립한 뇌신경과학 스타트업 뉴럴링크의 공동 설립자가 유전자 공학 기술을 활용해 공룡을 되살려낸 영화 '쥐라기 공원'의 현실화가 가능하다고 밝혀 화제다.

8일(현지시간) 영국 인디펜던트 등 외신에 따르면 뉴럴링크 공동 설립자인 맥스 호닥은 지난 4일 본인의 트위터에 "우리가 원한다면 아마도 쥐라기 공원을 세울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호닥은 이어 "유전학적으로 진짜 (멸종한) 공룡은 아닐 것"이라면서 "아마도 (유전자) 공학과 번식 작업을 거쳐 완전히 이색적인 새로운 종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호닥은 유전자 공학 기술이 생물 다양성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 초점을 맞췄다. 그는 "생물 다양성은 분명히 가치가 있고 (생물) 보존은 중요하다"며 "하지만 왜 우리는 거기서 멈춰야 하는가. 좀 더 의도적으로 새로운 (생물) 다양성을 만들어내는 시도를 하면 어떨까"라고 의견을 냈다.
영국 인디펜던트는 호닥의 발언을 전하면서도 유전자 조작 기술을 활용해 공룡을 번식시키기 위해선 난제가 산재했다는 점을 지적하고 나섰다.

우선 공룡 유전자를 어디서 얻을 수 있을지가 문제점으로 꼽힌다. 영화 '쥐라기 공원'에서는 호박 화석 안에 보존된 고대 모기의 피에서 공룡 유전자를 추출하는 것으로 설정했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영화 속 같이 유전자를 채취할 가능성은 없다고 전문가들은 선을 그었다.

영국 자연사박물관의 공룡 연구원인 수지 메이드먼트 박사는 "우리는 호박 화석 내에 보존된 모기와 파리를 갖고 있지만, 호박 안에 있는 대부분의 모기는 조직까지 보존된 게 아니라 껍질질만 남았다"며 "모기의 몸에서 피룰 구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또한 공룡의 게놈 지도도 없는 상황이다. 영화에서는 공룡의 유전자 지도에서 빠진 부분을 개구리 DNA로 메워 공룡을 되살려낼 수 있는 것처럼 묘사되지만 이같은 설정이 현실과는 동떨어져 있다는 지적이다.

메이드먼트 박사는 "게놈은 생물의 완전한 DNA 세트"라며 "완벽한 게놈이 없으면 DNA의 어떤 부분이 빠졌는지 알 수 없고, 빠진 부분을 채워넣을 수 없다"고 말했다.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