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 영향에도 오늘 400명대 초중반…곳곳 산발감염 지속 확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446명→470명→465명→488명→490명→?…어제 밤 9시까지 400명
6일 연속 400명대…1주간 일평균 지역발생 428명, 2.5단계 범위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재확산 조짐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11월 중순부터 본격화한 '3차 대유행'은 지난해 12월 25일(1천240명) 정점을 찍은 이후 점차 안정세를 보여 최근 3주간 신규 확진자가 300∼400명대로 줄었지만, 다시 500명에 육박하며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수도권뿐만 아니라 비수도권 확진자도 세 자릿수로 올라서면서 전국 재확산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부는 일단 최근의 확산세를 꺾기 위해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수도권 2단계, 비수도권 1.5단계)와 5인 이상 사적모임 금지 조치를 오는 28일까지 2주간 더 연장했다.
◇ 주말 검사건수 감소에도 400명대…요양원-목욕탕 등 곳곳서 집단감염
14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전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490명이다.
직전일인 12일(488명)보다 다소 늘어나면서 이틀 연속 500명에 육박했다.
이날 0시 기준으로 발표될 신규 확진자도 다소 줄겠지만 400명대를 기록할 전망이다.
지난 9일(446명)부터 6일 연속 400명대를 이어가는 셈이다.
방역당국과 서울시 등 각 지방자치단체가 전날 0시부터 오후 9시까지 중간 집계한 신규 확진자는 총 400명으로, 직전일 같은 시간의 462명보다 62명 적었다.
밤 9시 이후 확진자가 많이 늘어나지 않는 추세를 고려하면 400명대 초중반에 달할 전망이다.
직전일에는 오후 9시 이후 28명이 늘어 최종 490명으로 집계됐다.
이날 확진자가 줄더라도 이는 주말 검사건수 감소 영향에 따른 것이어서 확산세가 잡힌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최근 1주일(3.7∼13)간 신규 확진자는 일별로 416명→346명→446명→470명→465명→488명→490명을 기록하며 일평균 446명꼴로 나왔다.
이 가운데 거리두기 단계 조정의 핵심 지표인 일평균 지역발생 확진자는 428명으로, 2.5단계(전국 400명∼500명 이상 등) 범위에 재진입한 상태다.
더욱이 감염경로 불명 확진자도 꾸준히 늘어나고 있어 재확산 우려를 키우고 있다.
최근 2주간(2.28∼3.13) 감염경로 불명 환자 비율은 23.4%(5천859명 중 1천372명)에 달했다.
4명 중 1명은 언제, 어디서 감염됐는지조차 모르는 셈이다.
◇ 백신접종 진행 중인 요양원서 집단감염…취약시설 전수검사 등 방역 강화
이런 가운데 코로나19 취약시설, 특히 백신 접종이 진행 중인 요양원에서 신규 감염이 발생해 방역당국이 촉각을 세우고 있다.
경기 용인시 수지구 요양원에서는 10일 이후 이용자 9명과 직원 2명 등 총 11명이 확진됐고, 서울 강동구 병원에선 9일 이후 간병인 2명과 환자 4명 등 6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중 용인 요양원의 경우 백신 접종이 진행 중인 가운데 집단발병이 확인됐다.
방대본은 아직 백신 접종 후 면역 효과가 나타날 만큼 충분한 기간이 지나지 않았고, 집단면역이 생성될 만큼 접종률이 높지 않은 것을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이들 취약시설 외에도 일상 공간 곳곳에서도 감염 불씨가 이어지고 있다.
경남 진주시의 사우나와 관련해선 누적 확진자가 전날 기준으로 132명까지 불어났다.
또 ▲ 경기 화성시 물류센터(누적 12명) ▲ 안산시 단원구 일가족-직장(11명) ▲ 충남 홍성군 금속제조업체(9명) ▲ 경북 구미시 사업장(6명) 등 직장 관련 신규 감염도 잇따랐다.
정부는 확산세 차단을 위해 현행 방역 조치를 유지하면서 사전 점검을 강화할 방침이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앞선 브리핑에서 "4차 유행 방지 및 백신 접종의 차질 없는 진행을 위해서라도 현 방역 대응 체계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며 거리두기 재연장 배경을 설명했다.
정부는 앞으로 신규 확진자가 몰려 있는 수도권의 백화점, 목욕장업, 학원 등 다중이용시설에 대해 방역점검을 강화할 예정이다.
각 부처는 15일부터 28일까지 소관 다중이용시설을 대상으로 방역상황을 일제 점검하고, 방역 위반사항이 발견된 시설은 해당 지방자치단체에 통보해 과태료 부과 등 행정조치를 내릴 예정이다.
또 위험도가 높다고 평가되는 취약 시설에 대해서는 전수 검사와 주기적인 선제검사 도입도 추진할 방침이다.
/연합뉴스
6일 연속 400명대…1주간 일평균 지역발생 428명, 2.5단계 범위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재확산 조짐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11월 중순부터 본격화한 '3차 대유행'은 지난해 12월 25일(1천240명) 정점을 찍은 이후 점차 안정세를 보여 최근 3주간 신규 확진자가 300∼400명대로 줄었지만, 다시 500명에 육박하며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수도권뿐만 아니라 비수도권 확진자도 세 자릿수로 올라서면서 전국 재확산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부는 일단 최근의 확산세를 꺾기 위해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수도권 2단계, 비수도권 1.5단계)와 5인 이상 사적모임 금지 조치를 오는 28일까지 2주간 더 연장했다.
◇ 주말 검사건수 감소에도 400명대…요양원-목욕탕 등 곳곳서 집단감염
14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전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490명이다.
직전일인 12일(488명)보다 다소 늘어나면서 이틀 연속 500명에 육박했다.
이날 0시 기준으로 발표될 신규 확진자도 다소 줄겠지만 400명대를 기록할 전망이다.
지난 9일(446명)부터 6일 연속 400명대를 이어가는 셈이다.
방역당국과 서울시 등 각 지방자치단체가 전날 0시부터 오후 9시까지 중간 집계한 신규 확진자는 총 400명으로, 직전일 같은 시간의 462명보다 62명 적었다.
밤 9시 이후 확진자가 많이 늘어나지 않는 추세를 고려하면 400명대 초중반에 달할 전망이다.
직전일에는 오후 9시 이후 28명이 늘어 최종 490명으로 집계됐다.
이날 확진자가 줄더라도 이는 주말 검사건수 감소 영향에 따른 것이어서 확산세가 잡힌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최근 1주일(3.7∼13)간 신규 확진자는 일별로 416명→346명→446명→470명→465명→488명→490명을 기록하며 일평균 446명꼴로 나왔다.
이 가운데 거리두기 단계 조정의 핵심 지표인 일평균 지역발생 확진자는 428명으로, 2.5단계(전국 400명∼500명 이상 등) 범위에 재진입한 상태다.
더욱이 감염경로 불명 확진자도 꾸준히 늘어나고 있어 재확산 우려를 키우고 있다.
최근 2주간(2.28∼3.13) 감염경로 불명 환자 비율은 23.4%(5천859명 중 1천372명)에 달했다.
4명 중 1명은 언제, 어디서 감염됐는지조차 모르는 셈이다.
◇ 백신접종 진행 중인 요양원서 집단감염…취약시설 전수검사 등 방역 강화
이런 가운데 코로나19 취약시설, 특히 백신 접종이 진행 중인 요양원에서 신규 감염이 발생해 방역당국이 촉각을 세우고 있다.
경기 용인시 수지구 요양원에서는 10일 이후 이용자 9명과 직원 2명 등 총 11명이 확진됐고, 서울 강동구 병원에선 9일 이후 간병인 2명과 환자 4명 등 6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중 용인 요양원의 경우 백신 접종이 진행 중인 가운데 집단발병이 확인됐다.
방대본은 아직 백신 접종 후 면역 효과가 나타날 만큼 충분한 기간이 지나지 않았고, 집단면역이 생성될 만큼 접종률이 높지 않은 것을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이들 취약시설 외에도 일상 공간 곳곳에서도 감염 불씨가 이어지고 있다.
경남 진주시의 사우나와 관련해선 누적 확진자가 전날 기준으로 132명까지 불어났다.
또 ▲ 경기 화성시 물류센터(누적 12명) ▲ 안산시 단원구 일가족-직장(11명) ▲ 충남 홍성군 금속제조업체(9명) ▲ 경북 구미시 사업장(6명) 등 직장 관련 신규 감염도 잇따랐다.
정부는 확산세 차단을 위해 현행 방역 조치를 유지하면서 사전 점검을 강화할 방침이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앞선 브리핑에서 "4차 유행 방지 및 백신 접종의 차질 없는 진행을 위해서라도 현 방역 대응 체계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며 거리두기 재연장 배경을 설명했다.
정부는 앞으로 신규 확진자가 몰려 있는 수도권의 백화점, 목욕장업, 학원 등 다중이용시설에 대해 방역점검을 강화할 예정이다.
각 부처는 15일부터 28일까지 소관 다중이용시설을 대상으로 방역상황을 일제 점검하고, 방역 위반사항이 발견된 시설은 해당 지방자치단체에 통보해 과태료 부과 등 행정조치를 내릴 예정이다.
또 위험도가 높다고 평가되는 취약 시설에 대해서는 전수 검사와 주기적인 선제검사 도입도 추진할 방침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