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천만 저지대 침수지역 방지 대책과 보상 계획 먼저 세워야"
사천시민참여연대 "남강댐 사천만 쪽 수문 추가 설치 철회하라"
경남 사천시민참여연대가 10일 사천시청 앞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에서 남강댐 치수능력증대사업으로 추진하는 사천만 쪽 수문 추가 설치계획 철회를 요구했다.

시민연대는 "수자원공사는 남강 다목적댐을 건설하면서 사천만 쪽 홍수조절 여수로를 설치했으며 1969년 댐 준공 이후 지금까지 홍수 방류로 사천만 저지대 주민 등에게 침수 등 경제적 피해를 주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런데도 수자원공사 등은 기후변화에 따른 최대강우량(PMP)과 최대홍수량(PMF)에 대응한다는 이유로 사천만 쪽으로 수문 4개를 추가 설치해 모두 16개로 현재의 2배인 1만2천37㎥/sec을 방류한다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시민연대는 "현재 홍수 방류량만으로도 태풍 때 큰 피해를 봤다"며 "추가 수문 설치는 사천시민들의 생존권을 위협하는 행위로 절대 이를 수용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2002년 태풍 루사 때 각종 쓰레기 등 퇴적물로 벼농사에 백수현상이 발생하고 갯벌이 황폐화해 600여억원의 재산피해가 났다"고 남강댐 사천만 홍수 방류에 따른 피해 사례를 설명했다.

또 "사천만은 어패류 산란장과 치어 서식지인데도 남강댐 홍수 방류에 따른 담수화로 해양 생태계가 파괴되면서 어업 생산이 소멸해 어민들의 생계가 막히고 있다"고 덧붙였다.

시민연대는 "현실을 무시하고 방류하기 위해 수문을 추가 설치하는 것을 결사반대한다"며 "수자원공사 등은 사천만 저지대 침수지역 방지 대책과 보상 계획을 먼저 세워야 한다"고 주문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