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부 폭력 규탄하고 추가 제재 의사 밝혀…군정 "경제 살려야" 딴소리
만달레이서 군경 총격에 숨진 30대 장례식 열려…"군부, 680여명 체포"
G7·미·EU 국제사회 제재 움직임 확산…미얀마 군부 "예상했다"(종합)
쿠데타를 일으킨 미얀마 군부에 대한 국제사회 압박이 커지고 있다.

수백만 명이 참여한 총파업에서 확인된 '민심 이반'과 맞물려 안팎으로 군부를 압박하는 양상이다.

그러나 군부는 국제사회 움직임에 대해 "이미 예상했다"며 꿈적도 하지 않고 있어, 대치 국면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23일 외신 등에 따르면 주요 7개국(G7) 외교장관들은 유럽연합(EU) 고위대표와 함께 발표한 성명에서 미얀마 군부의 시위대 폭력진압을 강력하게 비판했다.

G7은 "미얀마 군부는 자제하고 인권과 국제법을 존중하라"고 촉구했다.

또 아웅산 수치 국가 고문과 윈 민 대통령 등의 즉각 석방을 요구하고 "민주주의와 자유를 외치는 미얀마 국민들 편에 함께 서겠다.

미얀마 군부를 규탄하기 위해 단결할 것"이라고 말했다.

G7은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캐나다, 일본 등 7개국이 참여하는 회의체다.

미국 정부도 22일(현지시간) 쿠데타에 연루된 인사 2명에 대한 추가 제재를 단행했다.

미국 내 자산동결, 자금거래와 입국 금지 등의 제재를 받게 된 인사는 미얀마 군 장성인 모 민 툰, 마웅 마웅 초 등 두 명이다.

미 정부는 지난 11일에도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과 소 윈 부사령관 등 군부 관계자 10명을 제재 대상에 올렸다.

유럽연합(EU) 회원국 외무 장관들도 같은 날 성명을 내고 "EU는 쿠데타에 직접적으로 책임이 있는 이들을 겨냥한 제한 조치를 채택할 준비가 돼 있다"라고 말했다.



미얀마 군부는 이에 대해 반응하지 않았다.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은 전날 군정 최고기관인 국가행정평의회(SAC)를 주재하며 "SAC는 약화한 경제를 되살리는데 에너지를 쏟아야 한다.

경제 구제책이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이날 국영매체 보도를 인용해 전했다.

수 백만명이 참가한 가운데 열린 `22222 총파업'과 관련한 발언으로, 국제사회의 제재 움직임은 애써 무시하면서, 자신들 뜻대로 '마이 웨이'를 가겠다는 듯한 모습이다.

군부는 쿠데타 이후 처음 가진 지난 16일 기자회견에서 국제사회의 제재에 대해 "이미 예상됐던 일"이라고 밝힌 바 있다.

G7·미·EU 국제사회 제재 움직임 확산…미얀마 군부 "예상했다"(종합)
미얀마 최대 도시 양곤을 비롯해 곳곳에서는 18일째 쿠데타 규탄 시위가 계속됐다.

전날 '22222 총파업'보다 규모는 훨씬 줄었지만, 시위대는 즉석 음악회 등을 개최하면서 "군사독재 타도"와 "지도자 석방" 등을 외쳤다고 현지 언론이 전했다.

미얀마 인권 유엔 특별보고관인 톰 앤드루스는 트위터에 "전날 거대한 시위 인파 사진들은 숨이 막히는 것들이었다"면서 "군 장성들은 협박할 힘을 잃고 있다.

물러나야 할 때"라고 말했다.

수도 네피도에서는 전날 시위 과정에서 100~200명가량이 체포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민단체 도움으로 이날 20명가량이 석방됐지만, 아직 얼마가 더 갇혀있는지는 불명확하다고 AFP 통신은 전했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체포된 이들 중 상당수가 18세 이하 미성년자로 알려졌다.

미얀마 정치범지원협회(AAPP)는 쿠데타 발발 이후 전날 현재까지 684명이 체포됐으며 이 중 637명이 여전히 구금 중이라고 밝혔다.

G7·미·EU 국제사회 제재 움직임 확산…미얀마 군부 "예상했다"(종합)
제2도시 만달레이에서는 지난 20일 경찰의 발포로 숨진 2명 중 한 명인 뗏 나잉 윈(37)의 장례식이 치러졌다.

미얀마 군정은 이날도 오전 1시부터 9시까지 인터넷 접속을 차단했다.

미얀마 군부는 작년 11월 총선에서 심각한 부정이 발생했음에도 문민정부가 이를 제대로 조사하지 않았다는 이유를 들어 1일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잡았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