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사우디 왕세자 위상 강등…양국관계 재조정 예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백악관 "대통령 맞상대는 왕세자 아닌 국왕"
트럼프 밀실외교 청소…사우디, 중동정책 급변조짐에 긴장 조 바이든 미 행정부가 사우디아라비아와의 관계에 '재조정'을 암시하면서 대(對) 중동 기조에서도 전임 도널드 트럼프 시절과 딴판이 될지 주목된다.
18일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중동의 무게중심을 사우디에 두려했던 트럼프 전 대통령과 달리 바이든 행정부에서는 사우디 관계에서 급회전을 예고하는 대목이 곳곳에서 감지됐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전날 언론 브리핑에서 바이든 대통령이 사우디아라비아와 관계를 "재조정할 의향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사키 대변인은 또 "대통령의 카운터파트는 살만 국왕"이라고도 언급했다.
바이든 대통령의 상대는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국왕이지, 실권자로 통하는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가 아니라는 뜻이다.
빈 살만 왕세자는 2018년 10월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 살해사건의 배후로 지목돼 국제 사회의 비난을 받아왔다.
그런데 트럼프 행정부는 그와 가까운 관계를 유지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사우디 국빈 방문 이후 중동의 맹주로 사우디를 밀어왔다.
하지만 바이든 대통령이 등장하면서 이런 기류는 급격히 쪼그라들었다는 게 블룸버그 진단이다.
카네기 국제평화재단 수석연구원인 애런 데이비드 밀러는 미국과 사우디 관계가 "좀 더 체계적이고 통상적인 채널"로 복귀할 것이라면서 "(트럼프 행정부와 은밀한 접촉을 주로 해온) 빈 살만 왕세자에게는 곤혹스러운 일"이라고 분석했다.
백악관에서도 비슷한 목소리가 흘러나왔다.
익명을 요구한 한 백악관 관계자는 사키 대변인의 발언을 두고 "오래된 외교 절차"로 돌아가겠다는 신호라고 해석했다.
실제로 사우디 지도층에서는 동요가 일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익명을 요구한 사우디 정부 관계자는 양국 연대가 "강력하다"는 입장을 고수했으나 실제로는 바이든 행정부가 중동 외교를 어떻게 바꿀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양국 고리가 아예 풀려버린 것은 아니다.
미 당국자들은 사우디의 이란 대응을 지원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혀왔으며, 예멘 내전 종식을 위해서도 사우디와 긴밀히 협력하겠다는 입장이다.
/연합뉴스
트럼프 밀실외교 청소…사우디, 중동정책 급변조짐에 긴장 조 바이든 미 행정부가 사우디아라비아와의 관계에 '재조정'을 암시하면서 대(對) 중동 기조에서도 전임 도널드 트럼프 시절과 딴판이 될지 주목된다.
18일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중동의 무게중심을 사우디에 두려했던 트럼프 전 대통령과 달리 바이든 행정부에서는 사우디 관계에서 급회전을 예고하는 대목이 곳곳에서 감지됐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전날 언론 브리핑에서 바이든 대통령이 사우디아라비아와 관계를 "재조정할 의향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사키 대변인은 또 "대통령의 카운터파트는 살만 국왕"이라고도 언급했다.
바이든 대통령의 상대는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국왕이지, 실권자로 통하는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가 아니라는 뜻이다.
빈 살만 왕세자는 2018년 10월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 살해사건의 배후로 지목돼 국제 사회의 비난을 받아왔다.
그런데 트럼프 행정부는 그와 가까운 관계를 유지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사우디 국빈 방문 이후 중동의 맹주로 사우디를 밀어왔다.
하지만 바이든 대통령이 등장하면서 이런 기류는 급격히 쪼그라들었다는 게 블룸버그 진단이다.
카네기 국제평화재단 수석연구원인 애런 데이비드 밀러는 미국과 사우디 관계가 "좀 더 체계적이고 통상적인 채널"로 복귀할 것이라면서 "(트럼프 행정부와 은밀한 접촉을 주로 해온) 빈 살만 왕세자에게는 곤혹스러운 일"이라고 분석했다.
백악관에서도 비슷한 목소리가 흘러나왔다.
익명을 요구한 한 백악관 관계자는 사키 대변인의 발언을 두고 "오래된 외교 절차"로 돌아가겠다는 신호라고 해석했다.
실제로 사우디 지도층에서는 동요가 일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익명을 요구한 사우디 정부 관계자는 양국 연대가 "강력하다"는 입장을 고수했으나 실제로는 바이든 행정부가 중동 외교를 어떻게 바꿀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양국 고리가 아예 풀려버린 것은 아니다.
미 당국자들은 사우디의 이란 대응을 지원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혀왔으며, 예멘 내전 종식을 위해서도 사우디와 긴밀히 협력하겠다는 입장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