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재난지원금 당정충돌 기류 속 "정치권 초당 협력" 당부
"정부가 최종 책임", "현실적 여건" 언급…기재부 힘싣기 분석도
문대통령 "재정감당 범위서 과감한 위기극복 방안 강구"(종합)
문재인 대통령은 8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경제 충격과 관련해 "정부는 재정이 감당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과감하게, 실기하지 않고, 충분한 위기 극복방안을 강구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수석·보좌관회의 모두발언에서 "이토록 오랫동안 자영업자들의 영업을 제한한 적이 없었다.

ADVERTISEMENT

네 차례 추경과 세 차례 재난지원금 등 전례 없는 확장재정 정책으로 위기에 대응한 적도 없었다.

위기도, 대응도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길"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번 발언은 4차 재난지원금 지급 방안을 두고 더불어민주당이 보편지급, 기획재정부가 선별지급론을 각각 내세우며 대립하는 양상을 빚는 상황과 맞물려 주목된다.

ADVERTISEMENT

다만 문 대통령은 선별지급이냐 보편지급이냐에 대한 똑 부러진 입장을 밝히진 않았다.

대신 "현실적인 여건 속에서 무엇이 최선인지 판단하기란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문 대통령이 민주당이 주장한 '과감한 지원'을 강조하면서도 '재정의 감당 범위', '현실적 여건'을 언급했다는 점에서 기재부에 힘을 실은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ADVERTISEMENT

문 대통령은 특히 홍남기 경제부총리에 대해 "한국은 경제위기를 가장 잘 극복한 나라로 평가받고 있다"며 "경제부총리를 중심으로 비상경제체제를 가동하며 대처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나아가 문 대통령은 재정을 통한 위기 극복 방안과 관련해 "최종적인 책임은 정부에게 있다"며 "정치권이 정파적 이해를 뛰어넘어 초당적으로 협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치권을 중심으로 재정논란이 과열되고 일각에서 '홍남기 사퇴론'까지 제기되는 상황에서 홍 부총리를 감싼 것으로 볼 수 있다.

ADVERTISEMENT

문 대통령은 또 "상당 기간 코로나의 종식이 없는 '위드(with) 코로나' 시대를 받아들여야 하는 것이 인류의 운명"이라며 "냉철한 자세로 이겨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K방역의 우수성을 비롯해 대한민국이 보여준 역량은 대단했다"며 "민주주의에 대한 국제적 평가도 큰 진전을 이뤘다"고 돌아봤다.

그러면서 "이런 평가는 사회가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간다는 징표다.

개혁 속도를 늦추지 않은 결과이자 결코 폄하될 수 없는 국민적 자부심"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다만 "이런 우수한 지표가 하루하루 어려운 국민들에게 위로가 될 수는 없을 것"이라며 "불평등과 격차를 해소하는 데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주문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