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사면론 여진…"화난 민심에 기름" "이낙연 고심 이해"
더불어민주당 지도부가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 사면 논란 봉합에 나섰지만, 당내에서는 여진이 계속됐다.

사면론 자체에 대한 비판부터 논의 과정의 아쉬움, 이낙연 대표의 충정을 이해한다는 의견까지 다양한 목소리가 이어졌다.

양향자 최고위원은 4일 최고위 회의에서 "두 전직 대통령의 사면, 검찰총장 탄핵, 중대재해기업 처벌법 등과 같은 중대한 사안은 더더욱 국민 상식에서 바라봐야 한다"며 "조급함을 절박함으로 혼동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안민석 의원은 CBS 라디오에서 "묻지마 식의 사면은 동의할 수 없다"며 "정경심 교수 구속과 윤석열 검찰총장 복귀로 화난 민심에 사면 이야기가 기름을 부었다"고 주장했다.

안 의원은 "두 전직 대통령이 정치 재판이라고 주장하지 않느냐"며 "만약 사면하면 교도소에서 나오자마자 '정의와 진실이 승리했다'고 할 텐데, 그러면 국민들이 잘못한 것이냐"고 반문했다.

이날 최고위원회를 중계한 민주당 유튜브 채널에는 이 대표의 사퇴를 요구하는 댓글이 이어졌다.

반면 설훈 의원은 CBS 라디오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 재판을 끝내고 얘기했더라면 더 좋았을 거라고 생각한다"면서도 "이 대표의 고심을 한편으로 이해해야 되는 것 아닌가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애초 사면론에 반대했던 우상호 의원은 BBS 라디오에서 "이 대표가 정치적 계산과 수로만 이 문제를 접근했을 거라고 보지 않는다"며 "국무총리까지 하신 국가 지도자로서 자꾸 갈등으로 분열되는 것에 대한 통찰이 있으셨을 것"이라고 말했다.

우 의원은 "이 대표가 대통령의 권한과 관련된 이야기를 할 때 기본적인 교감 없이 했을 거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대통령과) 취지 정도 대화는 있지 않았겠는가"라고 분석했다.

박성민 최고위원도 "박 전 대통령의 형이 확정되고 나면 좋든 싫든 문재인 대통령께 판단의 공이 돌아간다"며 "이 대표께서 그 과정들을 예상하고 본인이 화살을 맞겠다는 식으로 나선 것 아닌가 생각이 든다"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사면과 관련해서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최인호 수석대변인은 최고위를 마친 뒤 "오늘 사면 관련 논의는 전혀 없었다"며 "의원들과 당원들 간 의견 공유가 진행되는 중"이라고 말했다.

이 대표 측 관계자는 "단기적으로 타격은 받을 수 있지만 통합과 전진이라는 이낙연의 정치적 색깔을 분명히 보여준 것"이라며 "국가적 화두를 분명히 했으니 앞으로 다각적인 정책적 제안으로 뒷받침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