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드마크 조성이 전체 사업 성패 좌우…"부산의 미래, 먹거리 담아야"
해양문화지구 친수공간 확보, 1부두 역사성 보존도 관건
[부산항 북항시대](상) 대한민국 첫 항만 재개발…나아갈 방향은
부산 원도심 모습을 바꿔놓을 '북항 재개발' 사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북항 1단계 재개발사업이 2022년 마무리가 예상되는 가운데 2단계 사업에 대한 논의도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북항 재개발 구역이 국제해양관광 중심지가 되기 위해서는 그동안의 부산 도심 난개발 사례의 전철을 밟지 않고 제대로 된 방향으로 나아가는 게 중요하다.

◇ 1단계 사업에 2조4천억 투자…내년 부지 조성 완공
1단계 사업은 부산항 1∼4부두, 연안부두, 국제여객부두, 중앙부두 등 노화된 항만 부지 153만㎡를 재개발하는 것이 골자다.

국내 처음으로 이뤄지는 항만 재개발 사업이다.

규모는 사직야구장 11개 정도 크기에 해당한다.

해양수산부가 큰 그림을 그리고 부산항만공사가 부지·기반시설 조성을 맡았다.

1단계 개발 사업에만 무려 2조4천억원이 들어간다.

2008년부터 사업이 시작돼 2022년 부지 조성이 완공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1단계 부지 절반이 매각된 상태다.

[부산항 북항시대](상) 대한민국 첫 항만 재개발…나아갈 방향은
◇ 랜드마크 부지 개발이 성패 좌우…친수공간 확보 관건
1단계 개발 중 핵심이 되는 사업은 '랜드마크' 조성 사업이다.

현재 오페라하우스가 지어지고 있는 바로 옆 부지가 랜드마크 자리다.

이 곳은 건물 규모나 높이 제한 규정이 없다.

이 곳에는 당초 싱가포르 마리나베이 샌즈가 2조5천억원을 들여 리조트 개발을 추진하려고 했으나 '오픈 카지노' 문제가 걸림돌이 되면서 좌절되기도 했다.

이후 돔구장 건설 등의 아이디어가 나오기도 했지만, 아직 결정된 바는 없다.

시민단체는 랜드마크 부지에 어떤 시설이 들어오느냐가 향후 사업 전체의 성패를 결정할 수도 있다고 본다.

도한영 부산경실련 사무처장은 "랜드마크 부지에는 부산의 미래와 경제적 먹거리가 될 수 있고, 부산만의 무엇인가가 있는 시설이 들어와야 한다"면서 "랜드마크 외에도 아직 매각이 안 된 부지가 절반가량 남아있는데 제대로 된 시설 유치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랜드마크 부지 외에도 해양문화지구 등을 특별계획구역으로 지정해 개발하자는 이야기도 나온다.

[부산항 북항시대](상) 대한민국 첫 항만 재개발…나아갈 방향은
특별계획구역으로 지정하면 현상설계 등 창의적인 개발 계획 수립이 가능하다.

김종구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는 "이미 난개발이 진행됐지만 남아있는 공간이라도 원래 가고자 했던 해양 수도, 해양관광도시를 위한 시설물이 들어서야 하고, 부산시민에게 공간을 돌려준다는 생각으로 오픈스페이스를 만들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일본 도쿄만 인근 레인보우 브릿지 아래 오다이바처럼 시민들이 워터프런트를 즐길 수 있는 해양생태 파크, 해양공원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부산항 북항시대](상) 대한민국 첫 항만 재개발…나아갈 방향은
◇ 1부두 세계유산 등재 놓고 입장 엇갈려
1단계 재개발 사업 부지 내 포함된 우리나라 최초 근대식 항구인 부산항 1두의 역사성을 보존하는 문제도 현안으로 떠올랐다.

1부두는 1876년 개항한 국내 최초 항구다.

6·25 전쟁 때는 유엔군과 유엔지원물자 입항지고, 8·15광복 이후 100만 동포가 조국으로 귀환한 길목이기도 하다.

특히 1905년 만들어진 해안 석축(안벽)은 근대 항만 토목 구조물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아직 완벽하게 남아있다.

부산시도 이런 역사성 때문에 1부두를 포함한 피란수도 유산을 세계문화유산(유네스코)에 올리는 것을 추진해 2017년 문화재청 잠정목록에 조건부 선정이 되도록 하기도 했다.

하지만 현재 1부두에 계획된 매립사업이나 트램 차량기지 설치 계획은 1부두 역사성을 훼손할 수 있어 등재 추진이 어려울 것이란 지적도 나온다.

[부산항 북항시대](상) 대한민국 첫 항만 재개발…나아갈 방향은
문제는 보존이 필요하지만 부산시 내부에서도 부서별로 입장이 달라 여태껏 공식 입장조차 밝히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부산항만공사는 1부두 완전 보전을 위해 계획된 공사를 다시 한번 수정할 경우 2022년까지 1단계 공사를 완료하겠다는 약속이 이뤄지지 않을 수 있어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도시공학을 전공한 한 교수는 "매립으로 해양문화지구를 조성하는 것보다 역사 유산을 보존했을 때의 사회적 이익이나, 재개발 사업의 성공 확률이 더 높다"면서 "세계유산 등재는 국격 상승이나 관광을 통한 경제효과뿐 아니라 도시 체질까지도 바꿀 기회"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