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업계 "정부 지원책 현장과 딴판…합리적 적용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편의점주협의회(이하 협회)는 30일 입장문을 내고 "일률적 기준과 불합리한 기준에 대한 보완 및 재검토를 요구한다"라고 밝혔다.
ADVERTISEMENT
협회는 업계 피해가 심각한 상황에서 정부의 일률적 기준으로 인해 상당수 편의점이 이번 지원 대상에서 제외됐다고 지적한다.
대다수 편의점이 연간 매출액 4억 원을 초과하고 있지만, 평균 순이익은 200만 원이 안 된다는 게 이들의 설명이다.
ADVERTISEMENT
실제로 작년 전체 편의점의 평균 매출액은 5억 9천만 원이었는데, 이중 담배 매출을 제외하면 3억 2,500 만원으로 줄어든다.
최종열 CU가맹점주협의회 회장은 "정부가 재난 지원금 지급 대상의 기준을 설정하면서 실제의 상황이나 현장의 사정 등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라며 "엄연히 법적인 근거와 기준이 명백함에도 임의적인 기준을 정해 많은 편의점 점주들이 불이익을 입고 있다"고 비판했다.

ADVERTISEMENT
실질적으로 집합 제한 대상에 포함된 상당수의 편의점이 단 한 푼도 받지 못하는 상황도 문제시된다.
앞서 부산, 충남, 제주 등 광역자치단체는 `연말연시 방역대책`을 통해 편의점에서의 21~05시 취식을 금지하는 `집합 제한 행정명령`을 내린 바 있다.
ADVERTISEMENT
이들 점포들이 피크시간대에 영업 제한을 받아 상당한 불이익을 입었는데도, 정부가 불합리한 기준을 적용해 형평성을 훼손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협회는 매출 기준을 10억 이상으로 확대하거나, 담배 매출 제외 적용, 집합 제한 편의점의 `집합제한업종` 기준 적용, 사각지대의 영세 자영업자 지원 구제 등을 대책으로 제시했다.
최 회장은 "대부분의 편의점은 휴게음식업 허가 여부에 관계없이 정부의 연말연시 방역대책에 적극 동참했다"라며 "법적 기준과 합리적 기준을 적용하여 이번 3차 지원에서는 이전과 같은 불이익이 개선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