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진항 신평∼내항 연륙교, 보령 신항 준설토투기장 등 41개 사업
충남 항만개발 사업 정부 계획에 대거 반영…사업비만 3조원
충남도가 추진하는 도내 항만 개발사업 상당수가 정부 계획에 포함됐다.

충남도는 해양수산부가 연말에 고시하는 '제4차 항만기본계획'과 '제3차 항만 재개발 기본계획'(이상 2021∼2030년)에 도내 5개 시·군 7개 항만에서 추진 중인 41개 사업이 반영됐다고 30일 밝혔다.

사업비만 2조9천866억원에 이른다.

정부 계획에 포함된 도내 사업은 당진항 12건(사업비 1조2천815억원), 대산항 10건(7천201억원), 보령항 4건(2천940억원), 대천항 9건(6천304억원), 장항항 1건(275억원), 비인항 5건 (331억원) 등이다.

당진항은 신평∼내항을 잇는 연륙교 3.1㎞ 건설(1천405억원)과 서부두 매립지 내 진입도로 5.8㎞ 건설(1천69억원) 계획이 반영되면서 매립지 개발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충남 항만개발 사업 정부 계획에 대거 반영…사업비만 3조원
대산항은 컨테이너 전용 항만으로의 장점을 특화하고, 관광시설 개발과 대기질 개선 사업을 함께 추진한다.

601억원을 투입해 항로·항내 선회장을 준설해 선박 운항 여건을 개선한다.

선박 하역 작업에 필요한 동력을 직접 확보할 수 있는 육상 전원공급설비(153억원) 등도 설치해 벙커C유를 사용할 때보다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96%까지 줄일 수 있다.

보령항은 신항만 준설토 투기장 41만9천㎡ 조성(841억원), 신항만 관리부두 건설(482억원) 등이 반영돼 30년 숙원인 보령신항 개발에 한 발짝 더 다가서게 됐다.

대천항 동쪽 준설토 투기장 33만1천㎡ 해양 관광지 개발(3천653억원)도 정부 계획에 반영됐다.

장항항은 275억원을 들여 소형 선박용 부두인 옛 물양장 5만8천㎡를 재개발한다.

도 관계자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도내 수출입 업체 경쟁력 향상을 위해 이번 계획에 반영된 사업들이 조기에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