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차∙드론∙CCTV 보안, 뚫기 어려워진다!... LG유플러스, 국내 최초 IoT 단말용 ‘양자보안칩’ 개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보안 시스템온칩 개발사 ‘ICTK holdings’, 정보보안 기업 ‘EYL’, LG CNS 맞손
기존 기술 대비 암호 무작위성 26%↑, 사실상 최고 수준의 보안 성능
칩 크기는 절반으로 줄어 ’손톱보다 작아’ … 초소형 IoT 기기에도 유용
기존 기술 대비 암호 무작위성 26%↑, 사실상 최고 수준의 보안 성능
칩 크기는 절반으로 줄어 ’손톱보다 작아’ … 초소형 IoT 기기에도 유용

양자보안이란 ‘양자 난수 생성기(QRNG, Quantum Random Number Generator)’로 예측이 불가능하고 패턴이 없는 순수한 난수를 생성해 암호화 키 중복 및 예측을 방지하는 기술이다. 기존 IoT 기기에 사용하던 보안 기술인 ‘순수 난수 생성기(TRNG, True Random Number Generator) 대비 암호의 무작위성이 높아 해킹 위협으로부터 더욱 안전하다.
ADVERTISEMENT
3사는 이러한 QRNG을 ‘보안칩(PUF, Physical Unclonable Function)’에 합쳐 ‘양자보안칩(QPUF)’으로 구성했다. QRNG와 PUF가 하나의 칩 안에서 서로 데이터를 직접 주고받는 방식이다. 각각의 칩으로 구성돼 외부에서 신호를 주고받던 과거와 달리 정보 탈취의 가능성이 제로에 가까워졌다. 이를 통해 고객들은 사생활 침해 및 정보유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번 양자보안칩은 초소형이라는 것도 장점이다. 각각 별개의 칩으로 제작되던 두 기능을 하나의 칩으로 합치면서 사이즈가 절반으로 줄었다. 실제 칩의 크기는 가로·세로 3mm X 3mm로 손톱 보다 작은 수준이다. 때문에 소형 사물인터넷 기기에도 유용하게 쓰일 전망이다.
ADVERTISEMENT
각 사는 이르면 내년 상반기 중 실제 사용 중인 IoT 기기에 이번 양자보안칩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를 통해 최근 중요시되고 있는 IoT 기기의 보안성을 극대화시킨다는 계획이다.
전영서 LG유플러스 기업서비스개발담당은 “IoT 시장 선두주자로서 고객 사생활 침해와 정보 유출을 방지하고자 이번 기술 개발에 주력했다”라며 “향후 보안에 민감한 자율주행차, 드론, 기업·홈CCTV 등에 조속한 시일 내에 적용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한편 LG유플러스는 이달 초 LG이노텍 및 을지대학병원에 양자내성암호 기반 전용 통신회선을 구축했다고 밝힌 바 있다. LG이노텍 평택 공장과 부산IDC를 연결하는 전용회선 640km 구간, 을지대학병원 노원과 대전 간 전용회선 207km 구간에 양자내성암호 기술을 적용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