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위원장 결선 투표 시작…문재인 정부 노정관계 고비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차기 위원장을 뽑는 결선 투표가 17일 시작됐다.

민주노총에 따르면 위원장, 수석 부위원장, 사무총장 등 차기 임원 결선 투표가 이날부터 이달 23일까지 전체 조합원이 참여하는 모바일과 자동 응답 전화(ARS) 등의 방식으로 진행된다.

차기 위원장 결선 투표에는 지난달 28일∼이달 4일 1차 투표에서 1∼2위를 한 기호 3번 양경수 후보와 기호 1번 김상구 후보가 진출했다.

김상구 후보는 '사회적 교섭'을 공약으로 내걸었지만, 양경수 후보는 대화보다 투쟁이 우선이라는 입장이다.

다만 노조법 개정 등에 대해 노동계가 반발하는 현 정세에서 강력한 대정부 투쟁이 필요하다는 점에서는 두 후보의 입장에 큰 차이가 없다.

이번 선거도 과거와 같이 정파 간 대립 구도로 진행되면서 곳곳에서 과열 양상이 빚어졌다.

민주노총 건설노조 경기지부는 1차 투표 당시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단체 소통방에서 양경수 후보에게 투표할 것을 독려하면서 '인증샷'까지 요구한 것으로 드러나 민주노총 선거관리위원회의 경고를 받았다.

민주노총 내부에서는 특정 정파가 조합원을 동원하는 방식의 조직 운영 관행을 못 벗어나면 조직 내 민주주의를 실현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조직 확대도 근본적인 한계에 부딪힐 것이라는 비판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이번 결선 투표 결과는 문재인 정부 말기 노정관계의 중대 고비가 될 전망이다.

김명환 전 위원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노사정 대화에 참여했지만, 민주노총 대의원대회에서 합의안 추인을 못 받아 지난 7월 사퇴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