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처럼 퇴직연금 자동투자 활용…'TDF' 대표 투자상품으로 키워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퇴직연금을 활성화하려면 타깃데이트펀드(TDF)를 대표 투자상품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TDF는 은퇴시점에 맞춰 주식과 채권 등 자산 비중을 조절해주는 상품이다.
15일 홍원구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이 펴낸 ‘TDF의 성장 배경과 시사점’을 보면 작년 말 기준 국내에서 운용 중인 641개 TDF의 순자산액은 3조3242억원으로 집계됐다. TDF는 2011년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처음 선보였고, 2016년 삼성자산운용이 뛰어들면서 시장 규모가 대폭 커졌다. TDF 순자산 중 1조5000억원(46%)은 퇴직연금 자산이다. 실적배당형 상품에 투자된 퇴직연금 자산 21조8000억원의 7%에 해당한다.
1994년 TDF를 시작한 미국은 한국보다도 퇴직연금의 비중이 훨씬 높다. 작년 말 TDF 자산 1조3960억달러(약 1525조원) 중 확정기여(DC)형 등 퇴직연금 자산이 1조2020억달러로 86%에 이른다. 보고서는 2006년 미국 연금법 개정으로 한국의 DC형과 같은 ‘401k’형 퇴직연금의 자동가입이 도입된 것이 TDF 성장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했다. 가입자가 투자결정을 내리지 않은 경우 자동으로 투자(디폴트옵션)되는 기본 투자상품 중 하나로 TDF가 선택됐기 때문이다.
TDF는 근로자의 은퇴 등 목표시점에 맞춰 자산배분을 자동으로 해주기 때문에 퇴직연금 운용에 적합하다. 미국 자산운용사인 뱅가드에 따르면 자동가입 방식을 택한 퇴직연금 신규 가입자 중 78.7%가 TDF에 투자했다.
한국에서도 미국처럼 디폴트옵션이나 기금형 퇴직연금 도입으로 자동투자제도를 활성화하면서 TDF의 역할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게 보고서의 결론이다.
홍 위원은 “국내 퇴직연금 자산이 원리금보장 상품 위주로 운용돼 수익률이 낮은 상황”이라며 “우선 기업과 퇴직연금 사업자들이 TDF와 같은 실적배당형 상품을 대표 또는 추천 투자상품 목록에 올리는 것도 방법”이라고 제안했다.
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
15일 홍원구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이 펴낸 ‘TDF의 성장 배경과 시사점’을 보면 작년 말 기준 국내에서 운용 중인 641개 TDF의 순자산액은 3조3242억원으로 집계됐다. TDF는 2011년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처음 선보였고, 2016년 삼성자산운용이 뛰어들면서 시장 규모가 대폭 커졌다. TDF 순자산 중 1조5000억원(46%)은 퇴직연금 자산이다. 실적배당형 상품에 투자된 퇴직연금 자산 21조8000억원의 7%에 해당한다.
1994년 TDF를 시작한 미국은 한국보다도 퇴직연금의 비중이 훨씬 높다. 작년 말 TDF 자산 1조3960억달러(약 1525조원) 중 확정기여(DC)형 등 퇴직연금 자산이 1조2020억달러로 86%에 이른다. 보고서는 2006년 미국 연금법 개정으로 한국의 DC형과 같은 ‘401k’형 퇴직연금의 자동가입이 도입된 것이 TDF 성장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했다. 가입자가 투자결정을 내리지 않은 경우 자동으로 투자(디폴트옵션)되는 기본 투자상품 중 하나로 TDF가 선택됐기 때문이다.
TDF는 근로자의 은퇴 등 목표시점에 맞춰 자산배분을 자동으로 해주기 때문에 퇴직연금 운용에 적합하다. 미국 자산운용사인 뱅가드에 따르면 자동가입 방식을 택한 퇴직연금 신규 가입자 중 78.7%가 TDF에 투자했다.
한국에서도 미국처럼 디폴트옵션이나 기금형 퇴직연금 도입으로 자동투자제도를 활성화하면서 TDF의 역할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게 보고서의 결론이다.
홍 위원은 “국내 퇴직연금 자산이 원리금보장 상품 위주로 운용돼 수익률이 낮은 상황”이라며 “우선 기업과 퇴직연금 사업자들이 TDF와 같은 실적배당형 상품을 대표 또는 추천 투자상품 목록에 올리는 것도 방법”이라고 제안했다.
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