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공수처법 강행 처리…"잘못된 일" 54% vs "잘된 일" 40%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해 "공수처 설치해야 한다"…여론 분위기 변화
'잘못된 일' 54.2% vs '잘된 일' 39.6% 응답
'잘못된 일' 54.2% vs '잘된 일' 39.6% 응답
국민 10명 중 절반 이상이 더불어민주당이 주도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법(공수처법) 개정안 처리에 대해 '잘못된 일'라고 답했다. 지난해 공수처가 출범해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절반을 넘어섰던 것을 감안하면 여당이 해당 법안을 단독으로 처리하려는 데 대한 비판이 큰 셈이다.
여론조사 전문회사 리얼미터가 YTN 의뢰로 지난 11일 전국 만 18세 이상 500명 대상으로 공수처법 통과에 대한 의견을 물은 결과, 응답자의 54.2%가 '잘못된 일'이라고 답했다. '잘된 일'이라는 응답은 39.6%,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6.2%였다.
지난해 3월 조사에서는 공수처 설치 찬반 여론은 65% 대 24%, 10월 조사에서도 51% 대 41%로 찬성이 우세했지만 야당 비토권(거부권) 삭제 등 강행 처리 파열음이 일면서 여론 지형이 바뀌었다.
권역별로도 공수처 법안 통과에 대한 응답은 갈렸다. 대구·경북에서 '잘못된 일'이라는 응답은 69.8%로 가장 높았다. 이어 부산·울산·경남에서 63.7%, 대전·세종·충청에서 61.5%, 인천·경기에서 56.2%의 응답자가 공수처 법안 통과에 대해 '잘못된 일'이라고 평가했다.
반면 광주·전라에서는 '잘된 일'이라는 응답률이 75.2%로, '잘못된 일'의 응답률 19.5%보다 높게 나타났다. 서울에서는 '잘된 일'이 43.1%, '잘못된 일'이 49.0%로 응답률 간 격차가 크지 않았다. 이념 성향에 따라서도 응답 분포 차이를 보였다. 공수처 법안 통과에 대해 보수성향자 71.4%가 부정 평가한 반면, 진보성향자 66.9%는 긍정 평가했다.
지지하는 정당별로는 국민의힘 지지층 내 90.2%가 '잘못된 일'이라고 평가했지만, 민주당 지지층 내 87.9%가 '잘된 일'이라고 평가했다. 무당층에서는 '잘못된 일이다'라는 부정 응답이 51.7%로 긍정 응답보다 약간 높았으나, '잘 모르겠다'라는 유보적 응답이 21.5%로 평균 대비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이번 조사의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서 ±4.4%포인트다. 응답률은 9.1%였다.
김수현 한경닷컴 기자 ksoohyun@hankyung.com
여론조사 전문회사 리얼미터가 YTN 의뢰로 지난 11일 전국 만 18세 이상 500명 대상으로 공수처법 통과에 대한 의견을 물은 결과, 응답자의 54.2%가 '잘못된 일'이라고 답했다. '잘된 일'이라는 응답은 39.6%,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6.2%였다.
지난해 3월 조사에서는 공수처 설치 찬반 여론은 65% 대 24%, 10월 조사에서도 51% 대 41%로 찬성이 우세했지만 야당 비토권(거부권) 삭제 등 강행 처리 파열음이 일면서 여론 지형이 바뀌었다.
권역별로도 공수처 법안 통과에 대한 응답은 갈렸다. 대구·경북에서 '잘못된 일'이라는 응답은 69.8%로 가장 높았다. 이어 부산·울산·경남에서 63.7%, 대전·세종·충청에서 61.5%, 인천·경기에서 56.2%의 응답자가 공수처 법안 통과에 대해 '잘못된 일'이라고 평가했다.
반면 광주·전라에서는 '잘된 일'이라는 응답률이 75.2%로, '잘못된 일'의 응답률 19.5%보다 높게 나타났다. 서울에서는 '잘된 일'이 43.1%, '잘못된 일'이 49.0%로 응답률 간 격차가 크지 않았다. 이념 성향에 따라서도 응답 분포 차이를 보였다. 공수처 법안 통과에 대해 보수성향자 71.4%가 부정 평가한 반면, 진보성향자 66.9%는 긍정 평가했다.
지지하는 정당별로는 국민의힘 지지층 내 90.2%가 '잘못된 일'이라고 평가했지만, 민주당 지지층 내 87.9%가 '잘된 일'이라고 평가했다. 무당층에서는 '잘못된 일이다'라는 부정 응답이 51.7%로 긍정 응답보다 약간 높았으나, '잘 모르겠다'라는 유보적 응답이 21.5%로 평균 대비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이번 조사의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서 ±4.4%포인트다. 응답률은 9.1%였다.
김수현 한경닷컴 기자 ksoo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