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미 대선에 광범위한 사기·오류" 주장 콘텐츠 불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국 50개 주가 각각 대선 결과를 인증했기 때문" 설명
세계 최대 동영상 공유 사이트 '유튜브'(YouTube)가 "2020 미국 대선에 광범위한 사기행각 또는 오류가 있었다고 주장하는 내용의 콘텐츠를 허용하지 않겠다"고 공표했다.
유튜브는 지난 9일(현지시간) 자체 블로그를 통해 "2020 선거 결과를 지지한다"면서 "광범위한 선거사기, 투표기기 소프트웨어의 결함 또는 집계 오류가 대선 결과를 바꿨다고 주장하며 사람들을 오도하는 콘텐츠는 삭제하겠다.
9일 이후 올려진 모든 콘텐츠에 해당한다"고 전했다.
유튜브 측은 전날을 기해 미국 50개 주와 워싱턴DC가 각 지자체 차원에서 지난달 3일 치러진 대선 결과를 인증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의회 전문지 '더 힐'은 유튜브의 이런 방침이 9일 이전에 등록된 콘텐츠에는 해당사항이 없어 보인다면서, 유튜브가 기존 약관에 따라 대선이 본격화한 지난 9월 이후 8천여 채널의 운영을 중단시키고, 선거와 관련해 오해의 소지가 있거나 유해하다고 판단한 동영상 수천 개를 차단했다고 전했다.
유튜브 측은 앞서 적발된 동영상의 77%는 조회 수가 100번을 넘기 전에 삭제 조처됐다며 약관에 위배되는 콘텐츠의 약 25%가 구독자들에게 전달된 셈이라고 부연했다.
유튜브의 이번 방침이 알려진 후 조시 하울리 연방 상원의원(공화·미주리)은 "유튜브가 공식적으로 '의사 표현의 자유를 더는 허용하지 않겠다'고 공표했다"며 "선거의 무결성이 우려되더라도 가만히 앉아 입 다물고 있어야 한다"고 비꼬았다.
하울리 의원은 소셜미디어(SNS) 기업이 정보를 검열하고 제한할 수 있게 법적 보호막이 되어준 통신품위법 230조를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튜브는 이에 앞서 이번 미국 대선 과정에서도 공화·민주당 양측으로부터 비난을 샀다.
공화당 측은 유튜브가 페이스북·트위터 등과 마찬가지로 사전 검열을 통해 트럼프 지지층의 콘텐츠 노출을 제한했다고 주장했고, 민주당 측은 이들 업체에 "선거관련 잘못된 정보를 더욱 적극적으로 다뤄야 한다"고 요구했다.
더 힐은 "이 문제와 관련해 페이스북과 트위터의 최고경영자(CEO)는 올해 미국 의회 청문회에 여러 차례 불려 나가 조사를 받았으나 수전 워치츠키 유튜브 CEO는 소환되지 않았다"면서 "순다르 피차이 구글 CEO가 상원 청문회 증언대에 서기는 했으나 (계열사인) 유튜브와 관련해서는 거의 질문을 받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유튜브는 2005년 설립돼 2006년 거대 기술기업 구글에 인수됐다.
사용자 수가 전 세계 18억 명 이상으로 늘면서 현재는 정보 습득과 소통 창구 역할까지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유튜브는 지난 9일(현지시간) 자체 블로그를 통해 "2020 선거 결과를 지지한다"면서 "광범위한 선거사기, 투표기기 소프트웨어의 결함 또는 집계 오류가 대선 결과를 바꿨다고 주장하며 사람들을 오도하는 콘텐츠는 삭제하겠다.
9일 이후 올려진 모든 콘텐츠에 해당한다"고 전했다.
유튜브 측은 전날을 기해 미국 50개 주와 워싱턴DC가 각 지자체 차원에서 지난달 3일 치러진 대선 결과를 인증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의회 전문지 '더 힐'은 유튜브의 이런 방침이 9일 이전에 등록된 콘텐츠에는 해당사항이 없어 보인다면서, 유튜브가 기존 약관에 따라 대선이 본격화한 지난 9월 이후 8천여 채널의 운영을 중단시키고, 선거와 관련해 오해의 소지가 있거나 유해하다고 판단한 동영상 수천 개를 차단했다고 전했다.
유튜브 측은 앞서 적발된 동영상의 77%는 조회 수가 100번을 넘기 전에 삭제 조처됐다며 약관에 위배되는 콘텐츠의 약 25%가 구독자들에게 전달된 셈이라고 부연했다.
유튜브의 이번 방침이 알려진 후 조시 하울리 연방 상원의원(공화·미주리)은 "유튜브가 공식적으로 '의사 표현의 자유를 더는 허용하지 않겠다'고 공표했다"며 "선거의 무결성이 우려되더라도 가만히 앉아 입 다물고 있어야 한다"고 비꼬았다.
하울리 의원은 소셜미디어(SNS) 기업이 정보를 검열하고 제한할 수 있게 법적 보호막이 되어준 통신품위법 230조를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튜브는 이에 앞서 이번 미국 대선 과정에서도 공화·민주당 양측으로부터 비난을 샀다.
공화당 측은 유튜브가 페이스북·트위터 등과 마찬가지로 사전 검열을 통해 트럼프 지지층의 콘텐츠 노출을 제한했다고 주장했고, 민주당 측은 이들 업체에 "선거관련 잘못된 정보를 더욱 적극적으로 다뤄야 한다"고 요구했다.
더 힐은 "이 문제와 관련해 페이스북과 트위터의 최고경영자(CEO)는 올해 미국 의회 청문회에 여러 차례 불려 나가 조사를 받았으나 수전 워치츠키 유튜브 CEO는 소환되지 않았다"면서 "순다르 피차이 구글 CEO가 상원 청문회 증언대에 서기는 했으나 (계열사인) 유튜브와 관련해서는 거의 질문을 받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유튜브는 2005년 설립돼 2006년 거대 기술기업 구글에 인수됐다.
사용자 수가 전 세계 18억 명 이상으로 늘면서 현재는 정보 습득과 소통 창구 역할까지 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