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선 진출 후보 합동 토론회 개최…오는 17∼23일 투표
민주노총 위원장 후보들 '사회적 대화·정파 구도' 놓고 설전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차기 지도부를 뽑는 결선 투표에 진출한 후보들이 10일 사회적 대화와 조직 운영 방안 등을 놓고 열띤 토론을 벌였다.

민주노총 차기 임원 결선에 진출한 기호 1번 김상구 위원장 후보와 박민숙 수석부위원장 후보, 기호 3번 양경수 위원장 후보와 윤택근 수석부위원장 후보 등 4명은 이날 서울 정동 민주노총에서 열린 합동 토론회에 참석했다.

◇ "대화를 악마화하지 말라" vs "투쟁 깃발 들어야 할 때"
양경수 후보는 '사회적 교섭'을 공약으로 내건 김상구 후보에 대해 "(투쟁보다) 대화에 무게 중심이 쏠렸다는 게 일반적 평가"라며 김명환 전 위원장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노사정 대표자회의에 참여한 데 대한 평가를 요구했다.

김 전 위원장은 노사정 대표자회의를 제안하고 사회적 대화에 주도적으로 참여했지만, 대의원대회에서 합의안의 추인을 못 얻어 사퇴했다.

김상구 후보는 "(김명환 집행부의 사회적 대화는) 그 과정과 결과에 문제가 있었다"며 "사회적 교섭을 하려고 하는 데 대해 김명환 집행부가 했던 사회적 대화와 같은 것이라는 '프레임'을 짜는 데는 동의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는 "문재인 정권과 정부 여당이 반(反)노동적이고 계속 '우향우' 정책을 하고 있어 그런 부분에 대해서는 단호한 투쟁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다만 사회적 교섭 자체를 악마화해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

양 후보는 "국제노동기구(ILO) 핵심협약 비준을 이유로 노조법 개정을 추진한 정부는 ILO 핵심협약은 안중에도 없다는 게 확인됐다.

다시 투쟁의 깃발을 들어야 한다"며 대화보다 투쟁이 우선이라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양 후보는 위원장에 당선되면 바로 총파업 준비에 들어가겠다며 내년 11월 3일을 총파업 날짜로 제시한 바 있다.

민주노총 위원장 후보들 '사회적 대화·정파 구도' 놓고 설전
◇ 민주노총 '정파 구도'도 쟁점
토론회에서는 일부 정파가 주도해온 민주노총의 조직 운영 방식도 쟁점으로 떠올랐다.

김상구 후보의 러닝메이트인 박민숙 후보는 지난달 28일∼이달 4일 1차 투표에서 양경수 후보 득표율의 지역별 편차가 상대적으로 컸다며 그 이유가 무엇인지 따져 물었다.

양 후보가 특정 정파의 지지를 받고 있을 가능성을 제기한 것이다.

양 후보는 민주노총 내 최대 정파인 전국회의에 속해 있다.

양 후보는 박 후보가 거론한 지역별 득표율이 온라인이 아닌 현장 투표 결과로, 일반화하기 어렵다며 "현장과 모바일 투표 공히 1등을 했고 전국의 많은 동지가 지지와 응원을 해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박 후보는 "조직 선거, 정파 선거 이렇게 얘기하는데 조합원들이 동원의 대상이 되고 있고 그 현실이 명확하게 득표율로 증명됐다"며 "민주노총은 대중 조직이다.

대중 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민주노총의 운동 방식이 제대로 바뀌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상구 후보도 "(민주노총 내부의) 차이를 배제하고 자기중심으로 힘을 강화하려다 보니 건전한 토론보다 갈등과 혼란을 부추기고 대중 조직의 단결을 해치는 역기능이 많이 표출되고 있다"며 정파 중심의 조직 운영 방식을 비판했다.

이에 대해 양 후보는 "김명환 전 위원장이 정파 구도의 문제를 거론한 바 있지만, 그것은 정파의 문제가 아니었다.

지도부의 독단으로 반대에 부딪힌 것"이라며 "지도부가 투쟁 제일주의, 투쟁 우선주의를 가진다면 역기능은 사라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민주노총의 차기 지도부를 뽑는 결선 투표는 17∼23일 진행된다.

이번 선거 결과는 문재인 정부 말기 노정관계의 중대 고비가 될 전망이다.

민주노총 위원장 후보들 '사회적 대화·정파 구도' 놓고 설전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