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C현대산업개발(294870)은 범어우방1차아파트 주택재건축정비사업에 관한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을 09일에 공시했다. 계약 상대방은 범어우방1차아파트 주택재건축정비사업조합이고, 계약금액은 1,081억원 규모로 최근 HDC현대산업개발 매출액 4.22조 대비 약 2.6 % 수준이다. 이번 계약의 기간은 확인되지 않았다. 한편 이번 계약수주는 2020년 12월 09일에 체결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차트
수주 공시는 향후 기업의 실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계약의 규모, 계약 기간 등에 대해서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특히 수주 공시가 늘어나는데 주가는 움직이지 않는다면 매수 관점에서 접근해 볼 수도 있다.
ADVERTISEMENT
한경로보뉴스
이 기사는 한국경제신문과 금융 AI 전문기업 씽크풀이 공동 개발한 기사 자동생성 알고리즘에 의해 실시간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미국과 중국의 관세전쟁으로 세계 금융시장이 출렁이는 가운데 미국 단기 채권이 서학개미(해외주식에 투자하는 개인) 피난처로 부각되고 있다. 미국 장기채 금리가 널뛰고 있는 데다 안전자산 지위마저 흔들리고 있다는 관측이 나온 영향이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단기채를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장기채 앞선 단기채 수익률13일 ETF체크에 따르면 1년 미만 미국 국채에 투자하는 ‘ACE 미국달러단기채권액티브’ 상장지수펀드(ETF)는 최근 6개월간 9.77% 올랐다. 같은 기간 미국 장기채 ETF인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0.61%)를 훌쩍 웃도는 수익을 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정책이 경기 침체를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로 변동성이 극심했던 최근 한 달간 기준 수익률도 각각 -0.21%, -4.67%로, 단기채가 장기채를 앞섰다. 단기채는 달러 가치 상승분과 이자수익을 챙겼지만 장기채는 가격이 하락(금리 상승)한 탓이다.미국 증시에서도 단기채 ETF가 수익률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1~3년 만기 미 국채에 투자하는 ‘뱅가드 단기채’(VGSH)는 6개월간 2.23%의 수익률을 올렸다. 1년 미만으로 만기가 짧은 미 국채를 담은 ‘아이셰어즈 단기채’(SHV)는 같은 기간 2.19% 상승했다. 반면 미 장기채 ETF인 ‘아이셰어즈 만기 20년 이상 미국 국채’(TLT)는 이 기간 3.91% 하락했다. 환율을 배제한 수익률 측면에서도 단기채가 더 높은 성과를 낸 것이다.글로벌 자금은 단기채 ETF에 몰리고 있다. 변동성이 컸던 한 달간 SHV에 12억6520만달러(약 1조8398억원)가 들어왔다. 잔존 만기 3개월 미만 미국 국채에 투자하는 파킹형 상품 ‘SPDR 블
금, 엔화, 유로화 등이 안전자산으로 부각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오락가락한 관세 정책에 미국 국채와 달러가 흔들리자 투자자들이 대안을 찾아 나선 영향이다.13일 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금 현물 가격은 지난 11일 장중 트로이온스당 3220.2달러까지 치솟았다. 연초 대비 20% 넘게 오른 금액으로, 역대 최고가다. 국내 금 가격도 상승세다. 한국거래소(KRX) 금시장에서 1㎏ 금현물(24K·순도 99.99%)은 11일 g당 15만원에 육박한 14만9080원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 2월 기록한 최고가에 근접했다.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카드를 쥐고 글로벌 증시를 뒤흔들면서 전통적 안전자산인 금으로 투자 수요가 몰리고 있다. 금 가격은 올해 초부터 꾸준히 올랐지만, 아직 상승 여력이 남았다는 게 증권가의 분석이다. 이영주 하나증권 연구원은 “상호관세 유예 조치가 발표되긴 했지만, 트럼프발 불확실성이 여전한 상황”이라며 “금 같은 안전자산에 투자하려는 수요는 꾸준할 것”이라고 말했다.금에 투자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실물 금(골드바)을 구매하거나 KRX 금시장에서 금을 주식처럼 거래할 수도 있는데, 가장 간편한 투자법으로는 금 상장지수펀드(ETF)가 꼽힌다. 금값이 오르면서 올 들어 금 ETF는 좋은 성과를 냈다. ‘ACE 골드선물 레버리지(합성H)’의 수익률은 35.08%에 달했다. ‘KODEX 골드선물(H)’과 ‘TIGER 골드선물(H)’도 16~17% 수익을 냈고, 금 현물을 담은 ‘ACE KRX금현물’은 13.77% 올랐다.달러가 약세를 보이면서 유로화, 엔화 등 주요국 통화에 대한 투자 수요도 상대적으로 커졌다. 10일 외환시장에서 유로화는 전날보다 2% 넘게 오르며 1년9개월 만에 최고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규제 완화 기대로 상승세를 타던 미국 은행주 주가가 일제히 고꾸라졌다. 트럼프 대통령의 전방위 상호관세 공세로 기업들의 투자 활동이 크게 위축돼 기대심리가 역전된 모양새다.1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이달 들어 뱅크오브아메리카(BoA) 주가가 14% 가까이 급락했다. 같은 기간 웰스파고와 씨티그룹 주가도 각각 12.9%, 13.1% 하락했다. 골드만삭스(-9.4%) 모건스탠리(-7.3%) JP모간(-3.7%) 등도 조정받았다.대표적 트럼프 수혜주로 불린 미국 은행주 역시 상호관세 영향을 피하지 못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의 상호관세 정책이 기업 투자와 민간 소비를 위축시킬 것으로 우려돼 트럼프 당선 이후 개선될 것으로 봤던 은행의 비이자수익이 오히려 악화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다. JP모간과 뱅크오브아메리카 등 미국 주요 은행의 비이자수익 비중은 30% 수준이다.미국 대형 은행의 비이자수익은 기업공개(IPO)나 인수합병(M&A) 수수료가 수익의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상호관세로 경기 불확실성이 커져 기업들의 투자 활동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증시의 ‘롤러코스터 장세’가 장기화하면 IPO나 M&A 건수도 감소할 수밖에 없다.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전반적인 은행주 수익성이 악화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대손충당금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서다. 대손충당금은 경기가 침체했을 때 고객들이 대출 이자를 연체할 위험에 대비해 예상 손실금을 미리 적립해두는 것을 말한다.안소은 KB증권 연구원은 “미국 대형 은행주의 부진한 실적은 경기 침체 우려를 더 자극할 수 있다”며 “미국 은행의 비이자수익 부문 역시 미국의 상호관세로 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