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명소노그룹, 도·반대위에 반대 입장 담은 공문 발송

제주동물테마파크 사업과 관련해 1천억원 이상의 자금을 대여하기로 약정한 대명소노그룹이 사업 반대 입장을 공식적으로 표명했다.
제주동물테마파크 사업 '불투명'…1000억원대 자금 대여 중단
8일 제주도와 대명제주동물테마파크 반대대책위원회(이하 반대위)에 따르면 대명소노그룹(이하 대명그룹)이 지난달 2일 제주동물테마파크 사업에 대한 반대 입장과 자금지원 중단 내용을 담은 공문을 공식 발송했다.

제주동물테마파크 서경선 대표이사는 대명그룹 회장의 장녀다.

서 대표이사가 이끄는 서앤파트너스는 2019년 제주동물테마파크 주식 100%를 인수했다.

대명그룹은 공문을 통해 제주동물테마파크 서 대표이사가 그룹의 특수관계인에 해당하는 것은 맞지만 제주동물테마파크는 서 대표이사 개인의 목적과 의지에 의해 추진하는 사업이라고 했다.

대명그룹은 그러면서 이 사업에 대해 사업 초기부터 시행을 반대하는 입장을 명확히 해왔으며, 지난 1월부터 지출된 회수금을 지속해서 서 대표이사에게 요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대명그룹은 제주동물테마파크 사업으로 그룹이 금전이나 이미지 훼손 등 어떠한 형태로든 피해를 보게 된다면 제주동물테마파크에 그 책임을 물을 방침으로 제주동물테마파크와 관련해 대여, 투자, 컨설팅 등 어떠한 지원과 컨설팅도 없을 것임을 강조했다.
제주동물테마파크 사업 '불투명'…1000억원대 자금 대여 중단
반대위가 제공한 제주동물테마파크 감사자료를 보면, 제주동물테마파크는 대명그룹 계열사인 소노호텔앤리조트와 대명스테이션으로부터 1천270억원의 자금을 차입해 사업 자금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와 관련 반대위는 "대명그룹이 제주동물테마파크 사업에 대해 명확한 반대 입장과 자금지원 중단을 선언하면서 사실성 제주동물테마파크 사업 자금 확보는 어렵게 됐다"고 주장했다.

반대위에 따르면 제주동물테마파크는 지난달 30일 직원을 퇴사 처리해 퇴직금 정산도 완료된 상황으로, 제주와 서울에 각 1명만 남아 5∼6개월 동안 사업을 정리하고 있다.

반대위는 그러면서 "제주도는 이달 중순에 제주동물테마파크 변경승인을 위한 절차를 진행한다고 했지만 이러한 상황에서 사실상 이 사업은 추진되기 어렵다"며 "원희룡 제주지사는 제주동물테마파크 사업에 대한 변경 승인을 불허하라"고 촉구했다.

제주동물테마파크는 제주시 조천읍 선흘리 곶자왈 인근 58만㎡(약 17만평) 부지에 총사업비 1천670억원을 들여 호텔 1동과 사자 30마리, 호랑이 10마리, 불곰 12마리, 꽃사슴 100마리 등 23종 548마리의 야생동물 관람 시설, 동물병원 등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dragon.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