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계양구·서울 강서구 소각용 폐기물 처리 계획
부천시 "예산 절감·갈등 조율 등 장점"…"설득 작업하겠다"
부천자원순환센터 광역화 추진…주민 "타지역 쓰레기 안돼" 반발
경기 부천 대장동 자원순환센터를 현대화하는 사업이 추진되는 가운데 부천시가 사업 예산 절감을 위해 인근 지역의 소각용 쓰레기를 받아 이 센터에서 처리하는 계획을 세워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부천시는 대장동 자원순환센터 현대화 사업을 '광역화 사업'으로 전환해 추진한다고 8일 밝혔다.

이 사업은 7천786억원을 투입해 쓰레기 처리시설인 이 센터를 증축하는 동시에 지하화하고 지상에는 주민 공간을 조성하는 내용이다.

2025년 수도권매립지 종료와 대장동 제3기 신도시 건설 등으로 처리해야 할 쓰레기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추진됐다.

계획대로 사업이 완료되면 이 센터는 현재 일평균 쓰레기 처리량인 300t의 3배인 900t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사업 광역화에 따라 부천 쓰레기(470t)뿐만 아니라 인천 계양구·서울 강서구의 소각용 쓰레기(430t)도 이 센터에서 처리하기로 계획되면서 문제가 불거졌다.

주민들은 사업이 광역화로 추진되면 자원순환센터의 규모가 3배가량 커지고 타지역 쓰레기까지 떠맡게 돼 환경오염 우려도 더욱 커진다며 반발하고 있다.

센터 인근 지역인 오정동 주민 김모(54)씨는 "혐오시설인 자원순환센터가 동네 인근에 있어서 그동안 피해를 봤는데 더 크게 짓는 것도 모자라 타지역 쓰레기까지 받는다는 건 주민을 무시하는 처사"라며 불만을 토로했다.

이런 불만은 청와대 국민청원게시판에도 올라왔다.

'부천 대장동 쓰레기 소각장 광역화 절대 반대합니다'라는 청원 글을 올린 한 시민은 "부천시는 시민 동의 절차 하나 없이 대장동 쓰레기 소각장을 증축하고 광역화하고 있다"며 "신도시 건설로 늘어나는 인구 대비 소각장 문제를 어떻게 지혜롭게 해결해야 할지 시민들과 먼저 소통했어야 했다"며 광역화 철회를 촉구했다.

부천시는 자체 예산으로는 센터 현대화 사업도 쉽지 않은 상황이어서 광역화는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실제 자원순환센터 현대화 사업은 부천시가 단독으로 추진할 경우 5천616억원이 소요되며 이 중 부천시가 부담하는 비용은 정부 지원금(사업비 30%) 등을 제외한 2천153억원에 달한다.

그러나 사업을 광역화로 추진하면 정부 지원금(사업비 50%)이 늘어나고 쓰레기를 반입하는 다른 지자체로부터 사업 분담금을 받기 때문에 부천시가 부담하는 비용은 886억원으로 줄어든다.

부천시는 사업을 광역화로 추진하면 1천267억원의 예산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부천시 관계자는 "센터를 부천 단독 시설로 현대화하려고 해도 관련법 상 피해가 우려되는 인근 지자체와의 협의를 거쳐야 해서 추진이 쉽지 않다"며 "사업 광역화는 예산 문제뿐만 아니라 지역 간 갈등도 원활히 조율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주민들을 설득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