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거리두기 진작 상향했어야…내년 3월까지 여파 갈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환자 병상 부족도 눈앞에…의료시스템 부담 가중"
국내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3차 대유행'을 잡기 위해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격상을 발표했지만,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로도 확산세가 쉽게 누그러지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우려했다.
6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오는 8일 0시부터 수도권은 2.5단계, 비수도권은 2단계로 거리두기 수위가 오른다.
기존의 방역 조치에서 0.5단계씩 강도를 높인 셈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전국에서 동시다발적인 집단감염이 발생한 상황을 고려하면 단계 격상을 좀 더 빨리했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 "2.5단계로 올려도 쉽지 않아…효과 나오기 전 신규확진 '1천 명'도 가능"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방역 현장에서는 지금 수도권 상황이 거리두기를 2.5단계로 올려도 쉽지 않다고 보는 의견이 많다"면서 "역학적 연결고리가 확실하지 않은 감염뿐만 아니라, 일상에서의 감염자가 나온다는 게 굉장히 위험하다"고 진단했다.
이어 "이미 적어도 1∼2주 전에 단계를 올렸어야 한다"면서 "2.5단계 격상 효과는 2주가량 지나야 나올 텐데, 그러는 사이 700∼800명, 1천 명까지도 환자가 나올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미 여러 건의 집단감염이 발생하고 있어 통제가 쉽지 않은 상황에서 단계 상향도 신속하게 이뤄지지 않아 '3차 대유행'의 여파가 겨우내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최원석 고려대 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도 "방역만 놓고 보면 2.5단계도 이미 늦었다"면서 "전파 양상과 계절적 요인, (격상) 시기를 고려할 때 예전처럼 거리두기 격상 효과가 나오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환자가 줄지 않고, 거리두기 효과가 발휘되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린다면 올려놓은 단계로 1∼2주가 아니라 꽤 긴 시간을 가야 할 수도 있다"면서 "이번 유행의 여파가 3월까지 갈 것"이라고 우려했다.
한편으로는 거리두기 단계 상향으로 '사람 간 접촉'을 줄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개인 방역수칙 준수와 빠른 검사도 전파 차단의 관건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기모란 국립암센터 교수는 "가족이나 친척 간 모임이 오히려 앞으로의 가장 큰 복병"이라면서 "거리두기 단계를 올리는 것은 방역에서 일부분이고, 사람들이 적극적으로 방역수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금 코로나19 검사 부분은 관리가 안 되고 있다"면서 "역학적인 연관성이나 증상이 없는 환자들도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검사 기준을 내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 중환자 병상 부족은 '이미 닥친 문제'…의료시스템 붕괴 막아야
코로나19 유행이 장기화하면서 '중환자 병상 부족' 문제는 이미 눈앞에 있고, 앞으로 의료시스템 붕괴를 막는 것이 최우선 과제가 됐다는 분석도 나왔다.
기모란 교수는 "코로나19 중환자 병상 부족 문제는 이미 닥쳤고, 지금은 다른 중환자 치료에도 부담이 가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상황이 이어지면 다른 질환으로 중환자 치료를 받아야 하거나 수술을 기다리는 사람들이 치료를 못 받게 된다"면서 "전체적으로 의료 부담이 커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원석 교수는 "일반 병상은 격리기간을 줄여 병상 자원을 확보하고, 생활치료센터 확충을 위한 노력도 하고 있어 조금 여유를 가질 수는 있다"면서도 "문제는 중환자 병상"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중환자 병상이 확충되지 않으면 이동이 어려워 적절한 처지를 받지 못해 예후가 안 좋아지는 경우들이 생길 것"이라면서 "신규환자 발생 후 일주일∼열흘 후에 쓸 병상이 점유돼있어야 하는데 이미 부족한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또 정부가 집계하는 위·중증 환자 병상 현황이 현장 상황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도 문제점으로 제기됐다.
엄중식 교수는 "현장에서는 고유량 산소치료가 당장 필요하지는 않지만, 고연령이거나 다른 질환이 있어 중환자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으면 중환자 병상에서 치료하게 된다"면서 "실제 남은 병상은 정부 발표보다 4∼50개가량 적은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국내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3차 대유행'을 잡기 위해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격상을 발표했지만,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로도 확산세가 쉽게 누그러지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우려했다.
6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오는 8일 0시부터 수도권은 2.5단계, 비수도권은 2단계로 거리두기 수위가 오른다.
기존의 방역 조치에서 0.5단계씩 강도를 높인 셈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전국에서 동시다발적인 집단감염이 발생한 상황을 고려하면 단계 격상을 좀 더 빨리했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 "2.5단계로 올려도 쉽지 않아…효과 나오기 전 신규확진 '1천 명'도 가능"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방역 현장에서는 지금 수도권 상황이 거리두기를 2.5단계로 올려도 쉽지 않다고 보는 의견이 많다"면서 "역학적 연결고리가 확실하지 않은 감염뿐만 아니라, 일상에서의 감염자가 나온다는 게 굉장히 위험하다"고 진단했다.
이어 "이미 적어도 1∼2주 전에 단계를 올렸어야 한다"면서 "2.5단계 격상 효과는 2주가량 지나야 나올 텐데, 그러는 사이 700∼800명, 1천 명까지도 환자가 나올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미 여러 건의 집단감염이 발생하고 있어 통제가 쉽지 않은 상황에서 단계 상향도 신속하게 이뤄지지 않아 '3차 대유행'의 여파가 겨우내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최원석 고려대 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도 "방역만 놓고 보면 2.5단계도 이미 늦었다"면서 "전파 양상과 계절적 요인, (격상) 시기를 고려할 때 예전처럼 거리두기 격상 효과가 나오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환자가 줄지 않고, 거리두기 효과가 발휘되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린다면 올려놓은 단계로 1∼2주가 아니라 꽤 긴 시간을 가야 할 수도 있다"면서 "이번 유행의 여파가 3월까지 갈 것"이라고 우려했다.
한편으로는 거리두기 단계 상향으로 '사람 간 접촉'을 줄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개인 방역수칙 준수와 빠른 검사도 전파 차단의 관건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기모란 국립암센터 교수는 "가족이나 친척 간 모임이 오히려 앞으로의 가장 큰 복병"이라면서 "거리두기 단계를 올리는 것은 방역에서 일부분이고, 사람들이 적극적으로 방역수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금 코로나19 검사 부분은 관리가 안 되고 있다"면서 "역학적인 연관성이나 증상이 없는 환자들도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검사 기준을 내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 중환자 병상 부족은 '이미 닥친 문제'…의료시스템 붕괴 막아야
코로나19 유행이 장기화하면서 '중환자 병상 부족' 문제는 이미 눈앞에 있고, 앞으로 의료시스템 붕괴를 막는 것이 최우선 과제가 됐다는 분석도 나왔다.
기모란 교수는 "코로나19 중환자 병상 부족 문제는 이미 닥쳤고, 지금은 다른 중환자 치료에도 부담이 가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상황이 이어지면 다른 질환으로 중환자 치료를 받아야 하거나 수술을 기다리는 사람들이 치료를 못 받게 된다"면서 "전체적으로 의료 부담이 커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원석 교수는 "일반 병상은 격리기간을 줄여 병상 자원을 확보하고, 생활치료센터 확충을 위한 노력도 하고 있어 조금 여유를 가질 수는 있다"면서도 "문제는 중환자 병상"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중환자 병상이 확충되지 않으면 이동이 어려워 적절한 처지를 받지 못해 예후가 안 좋아지는 경우들이 생길 것"이라면서 "신규환자 발생 후 일주일∼열흘 후에 쓸 병상이 점유돼있어야 하는데 이미 부족한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또 정부가 집계하는 위·중증 환자 병상 현황이 현장 상황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도 문제점으로 제기됐다.
엄중식 교수는 "현장에서는 고유량 산소치료가 당장 필요하지는 않지만, 고연령이거나 다른 질환이 있어 중환자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으면 중환자 병상에서 치료하게 된다"면서 "실제 남은 병상은 정부 발표보다 4∼50개가량 적은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