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니스트 김세현(18)이 30일(현지 시각) 프랑스 파리에서 폐막한 롱티보 국제 콩쿠르에서 우승했다. 프랑스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이 대회에서 한국인 우승자가 나온 건 이혁(2022년) 이후 3년 만이다. 결선에서 프랑스 공화국 근위대 오케스트라와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3번을 연주하며 1위에 오른 김세현은 우승 상금으로 3만5000유로(약 5577만원)를 받는다. 피아니스트 이혁의 동생인 피아니스트 이효(18)도 2위 없는 3위에 올라 한국 클래식 음악계에 낭보를 전했다.롱티보 콩쿠르는 1943년 프랑스 피아니스트 마르그리트 롱(1874~1966)과 바이올리니스트 자크 티보(1880~1953)가 창설한 대회다. 피아니스트 삼손 프랑수아, 파울 바두라스코다, 바이올리니스트 장자크 캉토로프 등 명연주자들을 배출한 콩쿠르로 명성이 높다. 1~3년 주기로 피아노·바이올린·성악 부문에서 나눠 열린다. 한국에서는 피아니스트 임동혁(2001년), 이혁(2022년)이 1위에 오른 바 있다. 바이올리니스트 신지아(2008년)와 베이스 심기환(2011년)도 바이올린, 성악 부문에서 각각 우승 트로피를 들어올렸다.김세현은 11살이었던 2018년 금호영재콘서트로 데뷔한 뒤 2023년 클리블랜드 국제 청소년 피아노 콩쿠르에서 우승했다. 예원학교 재학 중 도미(渡美)한 그는 뉴잉글랜드 음악원 예비학교, 월넛힐 예술고등학교 등에서 수학했다. 김세현은 현재 뉴잉글랜드 음악원 피아노 석사 과정, 하버드대 영문학 학사 과정을 동시에 밟고 있다.김세현은 이번 콩쿠르 우승으로 사실상의 ‘군 면제’ 혜택을 받게 된다. 롱티보 콩쿠르는 밴 클라이번 콩쿠르와 쇼팽 콩쿠르, 시벨리우스 콩쿠르, 윤이상 콩쿠르 등과 함께 예술요원 병역특례 혜
필리핀 여행의 중심, 마닐라의 솔레어 리조트(Solaire Resort)에서 최현석 셰프를 초청해 오는 4월 5일부터 7일까지, 3일간 미식행사를 개최한다. 필리핀의 K-문화에 대한 관심은 굉장히 깊은 편. 최근에는 JTBC '냉장고를 부탁해'를 비롯해 넷플릭스를 통해 방송된 '흑백요리사'가 화제의 반열에 올랐다.30년 이상의 경력을 자랑하는 한국의 유명 스타 셰프 중 한 명인 최현석 셰프는 넷플릭스 시리즈 '흑백요리사'의 시그니처 요리를 필리핀으로 가져와 뜨거운 경쟁의 열기를 그대로 느낄 수 있는 최고의 미식 여행을 선사할 예정이다. 솔레어 리조트, 필리핀 마닐라에서 ‘흑백요리사’ 최현석 셰프의 시그니처 요리 선보여 솔레어 리조트의 이탈리안 레스토랑, 피네스트라(Finestra)에서 펼쳐질 파인다이닝은 최현석 셰프가 솔레어의 고객을 위해 특별히 큐레이팅한 5코스 디너로, 이탈리안 한식 퓨전 요리의 절묘한 풍미를 담는다. 최현석 셰프의 요리는 4월 5일과 7일, 솔레어 리조트 엔터테인먼트 시티의 피네스트라, 4월 6일에는 솔레어 리조트 노스의 피네스트라에서 즐길 수 있다.최현석 셰프는 ‘흑백요리사’에서 선보였던 한우 스테이크, 수비드한 무, 화이트 아스파라거스 등 세 가지 요리에 각기 다른 세 가지 장 소스를 곁들인 장 트리오 스테이크를 비롯해 핵심 재료가 빠졌음에도 불구하고 방송에서 극찬을 받아 기억에 남는 봉골레 파스타(이번에는 마늘이 들어감)를 재현한다. 또한 솔레어 리조트 고객만을 위한 아뮤즈 부쉬와 디저트 요리를 선보이며 더욱 특별한 다이닝 경험을 선사할 예정이다. 특히 솔레어 리조트는 최현석 셰프가 직접 요리한 메뉴를
튜바는 베이스와 콘트라베이스와 같은 저음역대를 연주하는 금관악기다. 19세기 중반 이후 오케스트라에 편성됐으니 역사는 상대적으로 짧다. 하지만 묵직한 저음을 담당하면서 오케스트라의 무게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없어서는 안될 악기라 오케스트라마다 1명의 튜바 연주자를 둔다. 올해 1월부터 한경arte필하모닉 오케스트라에서 튜바 수석 연주자로 활동하고 있는 강현수(35)를 지난 27일 만났다. 그는 "고등학교 2학년일 때 관악부 동아리에서 튜바를 처음 접한 건 운명이었다"고 회상했다. "동아리에 늦게 들어가니 잡을 수 있는 악기가 튜바 뿐이었지만 합주를 하면서 그 매력에 흠뻑 빠졌습니다." 일반 고등학교에서 희소한 악기를 접한 그는 튜바와 함께 서울대 음대에 진학했다. 졸업 후 빠르게 프로 연주자 생활을 시작했다.튜바는 최소 10kg에 달하는 무거운 악기다. 악기를 허벅지에 얹어 연주하려면 상당한 체력이 필요하다. 무거운 악기를 불어서 소리를 내다보니 수영선수급 폐활량이 뒷받침돼야 한다. 튜바 연주자들이 성악가 만큼 풍채가 좋은 이유다. 강현수는 3여년 전부터 한경arte필하모닉 오케스트라에서 객원 연주자로 협연했다. 객원 시절부터 한경arte필하모닉 오케스트라는 성장폭이 큰 단체였다는게 그의 생각. 젊은 연주자도 많고, 밝고 활기찬 분위기여서 정규 연주자가 된 이래 더욱 즐겁게 활동하고 있다고. 그는 "지휘자 등 외부에서 협연하시는 음악가들도 한경arte필하모닉 케스트라에 대해 신뢰가 두텁다"고 말했다.오케스트라 내에서 튜바 수석의 임무는 무엇일까. "오케스트라에 단 한명 뿐이다보니 현악기인 콘트라베이스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