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직원, 김재현 대표 등 재판서 증언
"옵티머스 '하자치유 문건' 보관 비밀사무실 있었다"
금융감독원이 지난 6월 옵티머스자산운용(옵티머스)을 조사할 당시 컴퓨터(PC)와 이른바 '펀드 하자 치유 관련' 문건을 비밀 사무실에 숨겼다는 증언이 나왔다.

금융감독원 자산운용검사국 소속 정모씨는 30일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34부(허선아 부장판사) 심리로 열린 옵티머스 김재현 대표와 윤석호 이사 등의 2회 공판에 증인으로 출석해 이같이 밝혔다.

정씨는 옵티머스 측이 금감원 검사에 대비해 컴퓨터를 별도의 비밀 사무실에 옮겨뒀고, 이 사무실을 조사한 결과 최근 언론에 보도된 '펀드 하자 치유 관련' 문건을 발견했다고 진술했다.

그는 옵티머스 비밀 사무실의 구조를 "사무실이 있을 거라고 생각하지 못한 곳에 김 대표의 개인 사무실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비밀 사무실에) 펀드 자금으로 개인적으로 회사나 개인들에게 빌려준 차용증·수표 사본 등이 있었다"고 부연했다.

검찰은 금감원으로부터 이 같은 사실을 전달받은 다음 날 옵티머스의 비밀 사무실을 압수수색 했고, 이 과정에서 관계자들이 도피나 증거 인멸을 위해 필요한 내용을 작성한 문건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재판에는 옵티머스에 1억원을 투자했다가 피해를 본 A씨도 증인으로 출석해 "증권사 상담사에게 '위험한 투자를 하고 싶지 않다'고 했더니 옵티머스 펀드를 투자해줘서 가입했다"고 진술했다.

A씨는 "공공기관은 빚을 내 사업을 하지 않고 정해진 예산 내에서 사업을 하는 만큼 안전한 펀드라고 생각했다"며 피해를 호소했다.

김 대표 등은 2018년 4월부터 환매 중단 사태가 벌어진 올해 6월까지 공공기관 매출채권에 투자한다며 투자자 2천900여명으로부터 약 1조1천903억원을 끌어모아 부실채권 인수와 펀드 돌려막기에 사용한 혐의로 기소됐다.

'펀드 하자 치유 관련' 문건은 김 대표가 지난 5월 초 작성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옵티머스의 정·관계 로비를 암시하는 내용을 담고 있어 파장을 일으켰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