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폭탄 맞은 중국, '코로나 수요'에 대미수출 반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국 내 마스크, 전자장비 수요 증가에 중 7·8월 대미수출 '껑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폭탄'에 휘청거리던 중국의 대미 수출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을 틈타 최근 급반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스크 등 의료·방역용품은 물론 재택근무의 확대에 따른 전자장비 수요가 늘어난 덕분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9일(현지시간) 미 인구조사국 통계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중국의 대미 수출 상위 10개 품목 중 8개가 올해 1∼8월 수출량이 대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의류는 46%, 신발은 40%, 가구는 26%, 완구는 22% 각각 급감했다.
TV와 오디오 장비를 포함한 중국산 전기기기는 작년 대미 수출 1위에 오른 '효자' 품목이었는데 올해는 수출량이 19% 줄었다.
이들 대부분은 트럼프 행정부의 징벌적 관세 타깃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의 대미 수출 중 4분의 3에 해당하는 3천700억달러 상당의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올해 1∼8월 중국의 전체 대미 수출량은 단 3.6% 감소하는 데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지난 7월 중국의 대미 수출은 전년 동월보다 13% 증가한 데 이어 8월에는 그 폭이 20%로 껑충 뛰었다.
중국이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셧다운'에서 가장 먼저 풀려나 공장을 일찍 재가동한 것이 그 배경이지만, 미국에서 '코로나19 수요'가 많이 창출된 것도 주요 이유로 꼽힌다.
시장분석기업 TS롬바드의 이코노미스트 로리 그린은 마스크를 포함한 개인보호장구, 노트북과 같은 재택근무 관련 전자장비가 중국의 7∼8월 대미 수출에서 3분의 2를 차지한다고 분석했다.
코로나19 위기에서 미 정부가 의료용품 등에 대한 관세를 면제해준 것도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미 인구조사국 통계에 따르면 마스크가 포함된 중국산 섬유 제품의 대미 수출은 올해 1∼8월 작년보다 156% 증가했다.
그중에서도 면마스크 수출은 465% 폭증했다.
그러나 불투명한 미·중 관계 등을 고려할 때 코로나19 사태가 창출한 신규 수요에 힘입은 중국의 대미 수출 반등세가 얼마나 계속될지 장담할 수 없다는 신중론도 나온다고 WSJ이 전했다.
/연합뉴스
마스크 등 의료·방역용품은 물론 재택근무의 확대에 따른 전자장비 수요가 늘어난 덕분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9일(현지시간) 미 인구조사국 통계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중국의 대미 수출 상위 10개 품목 중 8개가 올해 1∼8월 수출량이 대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의류는 46%, 신발은 40%, 가구는 26%, 완구는 22% 각각 급감했다.
TV와 오디오 장비를 포함한 중국산 전기기기는 작년 대미 수출 1위에 오른 '효자' 품목이었는데 올해는 수출량이 19% 줄었다.
이들 대부분은 트럼프 행정부의 징벌적 관세 타깃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의 대미 수출 중 4분의 3에 해당하는 3천700억달러 상당의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올해 1∼8월 중국의 전체 대미 수출량은 단 3.6% 감소하는 데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지난 7월 중국의 대미 수출은 전년 동월보다 13% 증가한 데 이어 8월에는 그 폭이 20%로 껑충 뛰었다.
중국이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셧다운'에서 가장 먼저 풀려나 공장을 일찍 재가동한 것이 그 배경이지만, 미국에서 '코로나19 수요'가 많이 창출된 것도 주요 이유로 꼽힌다.
시장분석기업 TS롬바드의 이코노미스트 로리 그린은 마스크를 포함한 개인보호장구, 노트북과 같은 재택근무 관련 전자장비가 중국의 7∼8월 대미 수출에서 3분의 2를 차지한다고 분석했다.
코로나19 위기에서 미 정부가 의료용품 등에 대한 관세를 면제해준 것도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미 인구조사국 통계에 따르면 마스크가 포함된 중국산 섬유 제품의 대미 수출은 올해 1∼8월 작년보다 156% 증가했다.
그중에서도 면마스크 수출은 465% 폭증했다.
그러나 불투명한 미·중 관계 등을 고려할 때 코로나19 사태가 창출한 신규 수요에 힘입은 중국의 대미 수출 반등세가 얼마나 계속될지 장담할 수 없다는 신중론도 나온다고 WSJ이 전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