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신지배연 "신세계, 책임경영 위해 총수일가 임원 등재해야"
신세계그룹이 여전히 총수 일가를 등기 임원으로 올리지 않고 있어 책임경영을 위해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대신지배구조연구소는 9일 발간한 대기업집단 지배구조 보고서 신세계그룹 편에서 "총수 일가가 등기 임원으로 등재된 상장 계열사가 없다"며 이같이 제언했다.

연구소는 "경영 의사결정에 실질적 영향을 미치는 총수 일가의 임원 등재는 책임경영 측면에서 필요한 사항"이라며 "총수 일가가 임원으로 등재되지 않으면 경영권 행사에 대한 법적 책임을 회피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상장 계열사의 대표이사와 이사회 의장의 분리 비율이 0%"라며 "경영진에 대한 효과적 견제를 위한 이사회 독립성 개선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연구소는 "사익편취 규제대상 사각지대에 있는 17개 계열사 중 내부거래 금액이 200억원을 초과하거나 비중이 연 매출의 12% 이상인 계열사가 다수 있다"며 "계열사 간 거래 공정성에 대한 제도 정비나 내부거래위원회 설치 등 선제 대응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연구소는 신세계그룹의 긍정적인 점으로는 ▲ 전 상장 계열사 전자투표제 도입 ▲ 배당금 수준 증가 또는 유지 ▲ 이사회 내 사회공헌위원회 설치 등을 꼽았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