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달 치러질 자민당 총재 선거에서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이 '대세'로 등극할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다음 달 치러질 자민당 총재 선거에서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이 '대세'로 등극할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일본의 차기 총리로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이 급부상하고 있다. 스가 관방장관의 사고방식이나 역사관 등에 관심이 쏠린다.

스가는 2012년 12월 제2차 아베 신조(安倍晋三) 내각 출범 후 줄곧 관방장관으로 재직, 거의 매일 기자회견을 했다.

회견 중 발언은 아베 정권의 노선과 궤를 같이했다. 한국에 대해 각을 세우는 내용도 많았다.

특히 회자되는 발언 중 하나는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1841∼1909)를 저격한 안중근(安重根·1879∼1910) 의사에 관한 말이다.

2013년 11월19일 스가는 안중근 표지석 설치를 위한 한국과 중국의 움직임에 관한 질문에 대해 "우리나라(일본)는 안중근에 관해서는, 범죄자라는 것을 한국 정부에 그동안 전해왔다"며 "(표지석이) 한일 관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2014년 1월 중국에 안중근 기념관이 개관하자 스가는 "우리나라의 초대 총리를 살해, 사형판결을 받은 테러리스트"라고 말했다.

2018년 8월 유엔 인종차별철폐위원회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피해자의 입장에서 해결할 것을 촉구하는 보고서를 발표했을 때는 "일본 정부의 설명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아 극히 유감"이라며 날선 반응을 내비쳤다.

최근엔 일제 강점기 징용 문제를 다룬 한국의 사법 절차가 "국제법 위반"이라는 주장을 되풀이했다. 일본 기업의 한국 내 자산이 강제 매각될 경우 일본의 대응에 대해선 "방향성은 확실히 나와 있다"(TV 출연 발언)며 보복 조치 가능성을 시사했다.

스가는 "관련 기업과 긴밀하게 협력하면서 일본 기업의 정당한 경제 활동 보호 관점에서 온갖 선택지를 시야에 넣고 계속 의연하게 대응하고 싶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전반적으로 한국과 맞서는 내용의 발언이 많았다.

다만 스가는 일본 정부 대변인이고 한일 관계가 경색된 국면에서 나온 발언인 만큼, 이를 스가의 사고방식과 동일시 하기 어렵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