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서 무릎사과로 親호남 행보
확실한 대선주자 발굴은 과제
4·15 총선 대패 직후 당을 맡은 김 위원장의 취임 일성은 ‘진취적인 정당으로의 변화’였다. 그는 총선 패배 원인 중 하나로 꼽혔던 강경한 장외투쟁 대신 장내 정책 투쟁으로 전환하고, 장외집회를 주도한 극우세력과 거리를 두면서 중도 행보를 이어왔다. 또 광주를 찾아 무릎을 꿇고 5·18 민주화 운동에 대한 당의 소극적 대응에 공식적으로 사과하는 등 친호남 행보를 보이기도 했다.
김 위원장이 제시하는 아젠다 역시 달라졌다는 평가다. 경제민주화, 사회양극화 해소, 친노동 정당 등 상대적으로 진보진영의 것이라 여겨졌던 아젠다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했고, 통합당의 새 정강정책에까지 포함하면서 중도로의 외연 확장을 시도했다.
야당으로서 견제 역할을 넘어 정책 이슈를 주도하려는 시도도 소기의 성과를 거뒀다. 기본소득 논쟁은 정책 이슈를 이례적으로 여당이 아니라 야당이 주도했다는 평가다.
당내 반발도 적지 않았지만 당 지지율이 오르면서 여전히 동력을 잃지 않고 있다. 단기간 안에 지지율을 끌어올린 점에 대해 특히 당내 호의적인 평가가 많다.
다만 풀어야 할 과제는 여전하다. 보수진영의 고질적인 인물난은 아직도 통합당의 발목을 잡고 있다. 여당과의 비슷한 지지율로 ‘해볼 만한 판’을 만들긴 했지만, 차기 서울시장과 대선 등에 내세울 대표 선수는 여전히 없다. 김 위원장은 대선후보로서 ‘40대 경제 전문가’ 등의 모델을 제시했지만 아직 두드러진 인물은 나오지 않고 있다.
김 위원장과 이낙연 신임 더불어민주당 대표와의 인연도 주목받고 있다. 40년 전 민정당 국회의원과 동아일보 기자로 처음 만난 두 사람은 17대 국회에서는 김 위원장이 당 부대표로, 이 대표가 민주당 원내대표로 호흡을 맞추기도 했다. 지난 3월에는 김 위원장이 통합당 선거대책위원장으로 거론될 당시 이 대표가 이를 만류하기도 했다. 두 사람의 친분을 고려할 때 김 위원장과 이해찬 전 대표의 관계와 달리 대표 간 소통이 원활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성상훈 기자 up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