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통신 등은 미국 메이요 클리닉(Mayo Clinic) 연구진이 코로나19 확진자 3만5000명에게 완치자로부터 받은 혈장을 처방한 결과 치료 효과가 있었다고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연구 결과 진단 받은지 3일 이내에 항체가 고용량으로 함유된 혈장치료제를 투여받은 환자 20%는 30일 이내에 사망했다.
반면 이후 항체가 저용량으로 함유된 혈장을 처방받은 환자들의 경우 30%가 사망해, 더 높은 사망률을 보였다.
메이요 클리닉의 수석 연구원인 마이클 조이너는 이를 두고 "혈장치료제를 투여한 환자들에게서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징후가 보였다"고 평가했다.
다만 이번 연구는 표본을 무작위로 선정하지 않았고 같은 분야 전문가들의 심사(peer review)를 거치지 않았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이번 연구는 미 식품의약국(FDA)이 '동정적 사용'을 허용하면서 코로나19 혈장치료제를 처방받을 수 있었던 환자들을 상대로 진행됐기 때문이다.
'동정적 사용'은 별다른 치료법이 없는 상황에서 환자들에게 아직 승인되지 않은 치료제를 실험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밀라 오르티고사 뉴욕대 교수는 "102년 전부터 (전염병 치료에) 사용됐던 혈장치료제의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논쟁은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다"면서 "반박 불가능한 증거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혈장치료제의 효능을 인정하더라도 치료제를 언제 어떻게 투여하는 게 좋을지는 불분명하다는 주장이다.
오르티고사 교수는 "코로나19 완치자들의 혈장에 있는 항체의 수는 일정하지 않고, 측정하기 어렵다"면서 "어떻게 혈장치료제를 활용하는 게 효율적인지에 대한 의문이 풀리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