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따른 국민 의무격리 장기화…가정폭력도 증가
넉 달 넘게 집에 갇힌 콜롬비아인들…불안·우울 호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좀처럼 가라앉지 않는 중남미에선 봉쇄 장기화에 따른 피로감도 커지고 있다.

특히 전 국민 의무 격리령이 넉 달을 넘긴 콜롬비아에선 불안과 우울을 호소하는 사람들도 늘고 있다고 AP통신이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남미 콜롬비아에 전 국민 자가격리령이 내려진 것은 지난 3월 25일이었다.

3월 6일에 첫 확진자가 나온 콜롬비아는 봉쇄 시작 무렵의 감염자 수가 유럽이나 아시아, 북미 국가들보다 훨씬 적었지만 이들 지역과 비슷한 시기에, 비슷하거나 더 엄격한 봉쇄를 시작했다.

의료체계가 상대적으로 열악하고 검사나 추적 역량도 제한적인 국가들에선 봉쇄가 최선의 방역이었다.

이후 유럽 등은 4∼5월 코로나19 확산의 정점을 지나 점차 봉쇄를 완화했으나 콜롬비아를 비롯한 중남미에선 여전히 끝을 알 수 없는 확산세가 이어지고 있어 섣불리 봉쇄를 해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코로나19 누적 확진자가 33만5천 명가량인 콜롬비아는 최근 하루 1만 명 안팎의 확진자가 추가되는 등 감염 확산이 더 빨라졌고, 3월에 시작된 자가격리령은 이달 말까지로 늘어났다.

넉 달 넘게 집에 갇힌 콜롬비아인들…불안·우울 호소
물론 봉쇄 장기화에 따른 경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코로나19 확산세와 무관하게 봉쇄는 조금씩 느슨해졌다.

격리 예외가 적용되는 활동과 직종도 점차 늘어나 46개가 됐다.

그러나 기본적인 자가격리 원칙은 유지됐기 때문에 많은 이들이 집 밖으로 나서지 않고 있다.

길어진 격리는 정신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쳤다.

심리치료사들은 불안과 우울을 호소하는 새 환자들이 급증했다고 AP에 전했다.

수도 보고타에선 격리 이후 자살 시도가 21% 늘었다.

보고타의 정신과 의사 오마르 쿠에야르는 "콜롬비아는 이미 내전과 마약밀매, 폭력 등으로 트라우마가 있는 나라"라며 "어떤 새로운 상황이 나타나면 쉽게 상황이 악화할 수 있는 조건이었다"고 말했다.

보고타 시당국은 격리 이후 정신건강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전화 상담 서비스를 개시했는데 지금까지 걸려온 전화가 2만5천 통에 달한다.

가족들이 집에 함께 있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가정폭력을 신고하는 전화도 격리 이전보다 두 배 이상 늘었다.

이혼 상담 역시 증가했다.

아울러 사람들이 실내에 앉아있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기존 질환 악화 등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고 AP통신은 전했다.

넉 달 넘게 집에 갇힌 콜롬비아인들…불안·우울 호소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