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교육회의, 교원 양성 체제 집중 숙의…교육부 정책에 반영키로
교원 양성 체제 개편 위해 예비교사·학부모·시민 머리 맞댄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미래 교육 과정에 적합한 교원 양성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사회적 협의가 추진된다.

대통령 직속 국가교육회의는 29일 제19차 국가교육회의에서 '코로나 이후 학습자 중심 교육을 위한 학교의 역할 변화 : 교육과정·교원 양성 체제 방향을 중심으로'에 대한 사회적 협의 추진 계획을 심의·의결했다고 30일 밝혔다.

사회적 협의에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학습자가 무엇을 어떻게 배워야 할지(교육과정), 학습자를 지원할 교사는 어떤 준비를 해야 할지(교원), 역량 있는 교사를 양성할 체제는 어떤 모습이어야 할지(교원 양성 체제 개편) 집중적으로 논의된다.

국가교육회의는 그중 교원 양성 체제 방향을 핵심 당사자와 일반 국민이 참여하는 '정책 집중 숙의' 의제로 설정하고 구체적인 정책 방향을 도출해 11월 말 결과를 발표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예비 교원·교원 단체·교원 양성기관 등 핵심당사자 30여명이 양성 체제 개편 방향 협의문 도출을 목표로 3개월간 8차례 집중 원탁회의를 연다.

이후 일반 국민 300여명이 참여하는 온라인 숙의에서 핵심당사자 집중 숙의에서 도출된 주요 쟁점을 추가 논의한다.

교육부는 이를 향후 미래 교원 양성 체제 개편 방안을 마련할 때 기본 방향으로 반영한다.

국가교육회의는 그 밖의 사회적 협의 의제인 교육과정에 대해서도 대국민 의견 수렴을 위해 교원·학생·학부모 초청 간담회, 국가교육 과정 포럼, 지역 순회 공청회, 대국민 여론 조사를 추진하고 결과를 연말 국민보고대회에서 발표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