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후 중국 대체할 투자지로 아세안 주목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무역협회 보고서…"투자·무역제도, 산업인프라 우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중국을 대체할 안정적 생산기지로 아세안 지역을 주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12일 발표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 글로벌 공급망 다변화를 위한 아세안 투자환경 점검' 보고서에서 "임금 상승, 미·중 통상 분쟁으로 탈(脫) 중국화가 심화하는 가운데 코로나19가 발생하자 안정적 공급망을 확보하려는 글로벌 기업의 이목이 아세안에 집중되고 있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말레이시아, 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 필리핀 등 아세안 5개국과 중국의 투자 환경을 경제적, 정책적, 사회적 측면으로 분류해 비교우위를 평가했다.
그 결과 시장 매력도와 시장 안정성, 생산 효율성을 평가하는 경제적 측면에서는 베트남이 중국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은 산업생산지수 증가율과 제조업 임금수준에서 모두 최고점을 받아 생산 측면 효율성이 아세안 5개국 가운데 가장 앞섰다.
중국은 시장 규모나 구매력 등 시장 매력도는 우수하지만, 가파른 임금 상승 여파로 생산비 측면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분석됐다.
정부정책과 투자·무역 제도를 평가하는 정책적 측면에선 말레이시아가 가장 우수했다.
말레이시아는 영업이익 대비 총세율, 가중평균 관세율, 보호무역 조치 등 평가지표 전반에서 양호했다.
반면에 중국의 무역장벽은 아세안 5개국 대비 높았다.
사회적 측면에서는 산업인프라 및 창업 환경에서 강점을 지닌 말레이시아와 태국이 중국과 대등한 수준으로 평가됐다.
보고서는 현지 진출기업의 경영실적을 근거로 아세안의 우수한 투자환경을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 기업의 아세안 투자수익률은 2014년 8.5%로 중국(24.6%)의 3분의 1에 불과했지만, 2018년에는 아세안(12.4%)이 중국(9.4%)을 크게 추월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조의윤 연구원은 "저임금 추구형 해외 진출 기업들은 중국 위주의 투자 일변도에서 벗어나 아세안 투자를 고려하는 해외생산 전략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중국에서의 임금 상승 현상은 아세안 내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날 것"이라며 "아세안 진출 일본기업은 임금 상승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생산 자동화를 더욱 강화하고 있어 우리 기업도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중국을 대체할 안정적 생산기지로 아세안 지역을 주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12일 발표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 글로벌 공급망 다변화를 위한 아세안 투자환경 점검' 보고서에서 "임금 상승, 미·중 통상 분쟁으로 탈(脫) 중국화가 심화하는 가운데 코로나19가 발생하자 안정적 공급망을 확보하려는 글로벌 기업의 이목이 아세안에 집중되고 있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말레이시아, 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 필리핀 등 아세안 5개국과 중국의 투자 환경을 경제적, 정책적, 사회적 측면으로 분류해 비교우위를 평가했다.
그 결과 시장 매력도와 시장 안정성, 생산 효율성을 평가하는 경제적 측면에서는 베트남이 중국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은 산업생산지수 증가율과 제조업 임금수준에서 모두 최고점을 받아 생산 측면 효율성이 아세안 5개국 가운데 가장 앞섰다.
중국은 시장 규모나 구매력 등 시장 매력도는 우수하지만, 가파른 임금 상승 여파로 생산비 측면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분석됐다.
정부정책과 투자·무역 제도를 평가하는 정책적 측면에선 말레이시아가 가장 우수했다.
말레이시아는 영업이익 대비 총세율, 가중평균 관세율, 보호무역 조치 등 평가지표 전반에서 양호했다.
반면에 중국의 무역장벽은 아세안 5개국 대비 높았다.
사회적 측면에서는 산업인프라 및 창업 환경에서 강점을 지닌 말레이시아와 태국이 중국과 대등한 수준으로 평가됐다.
보고서는 현지 진출기업의 경영실적을 근거로 아세안의 우수한 투자환경을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 기업의 아세안 투자수익률은 2014년 8.5%로 중국(24.6%)의 3분의 1에 불과했지만, 2018년에는 아세안(12.4%)이 중국(9.4%)을 크게 추월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조의윤 연구원은 "저임금 추구형 해외 진출 기업들은 중국 위주의 투자 일변도에서 벗어나 아세안 투자를 고려하는 해외생산 전략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중국에서의 임금 상승 현상은 아세안 내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날 것"이라며 "아세안 진출 일본기업은 임금 상승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생산 자동화를 더욱 강화하고 있어 우리 기업도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